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55

Hyperkalemia 1. 응급 상황 (K⁺ > 6.5 mmol/L 또는 심전도 이상 동반)🚨 즉각적인 치료가 필요하며, 심장 보호 + 칼륨 이동 + 칼륨 배출을 병행해야 합니다.1) 심장 보호 (칼륨이 심장 전도계에 미치는 영향 차단)칼슘제제 (Calcium gluconate 10%, 10mL IV over 5-10 min)작용 기전: 심근 세포의 안정화를 돕고, 칼륨에 의한 심장 전도 장애(부정맥, 심정지)를 예방합니다.효과: 투여 즉시 심전도 이상(Tall peaked T wave, Wide QRS, PR prolongation) 개선 가능.주의: 칼슘을 투여한다고 칼륨 농도가 낮아지는 것은 아니며, 심전도 이상 개선이 목적입니다.2) 칼륨을 세포 내로 이동시키는 방법 (K⁺ Shifting)인슐린 + 포도당 (Reg.. 2025. 3. 17.
Renal Scan (DTPA) 결과 Renal Scan (DTPA) 결과DTPA(디에틸렌트리암펜타아세트산) 신장 스캔은 신장의 혈류, 여과 기능(GFR), 배설 기능을 평가하는 핵의학 검사입니다. DTPA는 신장에서 여과되어 배설되기 때문에, 이를 이용해 신장 기능을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습니다.1️⃣ 주요 평가 항목1. 신장 혈류 (Renal Perfusion)✅ 의미: 조영제가 신장으로 얼마나 잘 도달하는지 확인✅ 정상: 신장으로의 혈류 공급이 대칭적으로 빠르게 증가✅ 비정상: 혈류 공급이 느리거나 좌/우 신장 간 차이가 클 경우 신혈관질환(Renal artery stenosis), 혈관 손상 의심2. 신장 여과 기능 (Glomerular Filtration Rate, GFR)✅ 의미: 신장이 얼마나 효과적으로 혈액을 여과하는지 평가.. 2025. 3. 17.
신기능(Renal Function)에 따라 용량 조절(Renal Dosing)해야 하는 약제 🔬 신기능(Renal Function)에 따라 용량 조절(Renal Dosing)해야 하는 약제📌 신장 기능이 저하된 환자에서 약물 배설이 감소할 수 있으므로, 용량을 조절하지 않으면 약물 축적에 의해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음.📌 신기능 감소(EGFR, CrCl)에 따라 용량 조절이 필요한 약물을 정리함.1️⃣ 항생제(Antibiotics)✅ 용량 조절 필수 (신장 배설 비율 높음)약제군약물 예시CrCl 기준 용량 조절 필요베타락탐 (Beta-lactams)페니실린G, 암피실린, 피페라실린CrCl 세팔로스포린 (Cephalosporins)세프트리악손 제외한 모든 약물CrCl 카바페넴 (Carbapenems)메로페넴, 이미페넴, 에르타페넴CrCl 아미노글리코사이드 (Aminoglycosides)겐타마.. 2025. 3. 11.
UTI (Urinary Tract Infection, 요로감염) & APN (Acute Pyelonephritis, 급성 신우신염) UTI (Urinary Tract Infection, 요로감염) & APN (Acute Pyelonephritis, 급성 신우신염)요로감염(UTI) 은 세균이 요로계(방광, 신장 등)에 감염을 일으키는 질환이며, 급성 신우신염(APN) 은 감염이 상부요로(신장)로 확산된 심각한 형태의 UTI입니다.🔹 1. 요로감염(UTI) 개요✅ 정의:방광, 신장, 요관 또는 요도에서 발생하는 감염하부요로감염 (방광염, Cystitis) vs. 상부요로감염 (신우신염, Pyelonephritis)✅ 유형:유형정의특징단순 UTI (Uncomplicated UTI)건강한 비임신 여성에서 발생치료 반응 양호복합 UTI (Complicated UTI)남성, 임산부, 면역저하자, 기저 질환(신장질환, 당뇨)치료 어려움, 재발 .. 2025. 3.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