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응급 상황 (K⁺ > 6.5 mmol/L 또는 심전도 이상 동반)
🚨 즉각적인 치료가 필요하며, 심장 보호 + 칼륨 이동 + 칼륨 배출을 병행해야 합니다.
1) 심장 보호 (칼륨이 심장 전도계에 미치는 영향 차단)
- 칼슘제제 (Calcium gluconate 10%, 10mL IV over 5-10 min)
- 작용 기전: 심근 세포의 안정화를 돕고, 칼륨에 의한 심장 전도 장애(부정맥, 심정지)를 예방합니다.
- 효과: 투여 즉시 심전도 이상(Tall peaked T wave, Wide QRS, PR prolongation) 개선 가능.
- 주의: 칼슘을 투여한다고 칼륨 농도가 낮아지는 것은 아니며, 심전도 이상 개선이 목적입니다.
2) 칼륨을 세포 내로 이동시키는 방법 (K⁺ Shifting)
- 인슐린 + 포도당 (Regular Insulin 10U IV + 50% Dextrose 50mL IV)
- 작용 기전:
- 인슐린은 Na⁺/K⁺ ATPase를 활성화하여 K⁺을 세포 내로 이동시킵니다.
- 저혈당을 방지하기 위해 포도당을 함께 투여합니다.
- 효과: 30분 이내로 혈중 K⁺ 감소 (약 0.5~1.0 mmol/L 감소).
- 주의: 저혈당 모니터링 필요.
- β2-Agonist (Salbutamol 10~20mg Nebulizer or IV)
- 작용 기전:
- β2-수용체 자극 → cAMP 증가 → Na⁺/K⁺ ATPase 활성화 → K⁺ 세포 내 이동
- 효과: 30분 내로 K⁺ 0.5~1.0 mmol/L 감소 가능.
- 주의: 고용량 사용 시 빈맥, 불안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음.
- Sodium bicarbonate (NaHCO₃, 50mEq IV)
- 작용 기전:
- 대사성 산증이 동반된 CKD 환자에서 NaHCO₃는 H⁺을 중화하면서 H⁺/K⁺ 교환기를 통해 K⁺을 세포 내로 이동시킵니다.
- 효과: 제한적 (산증 교정이 목적이며, 단독 사용은 비효율적).
3) 칼륨 배출을 증가시키는 방법 (K⁺ Elimination)
(1) 신장을 통한 배설 (Urinary excretion, K⁺ removal)
- Loop or Thiazide diuretics (Furosemide 20~40mg IV/PO)
- 작용 기전:
- **Loop diuretics(Furosemide)**는 신장의 Henle고리에서 Na⁺/K⁺/2Cl⁻ co-transporter를 억제하여 K⁺ 배설 증가.
- Thiazide diuretics는 distal tubule에서 Na⁺ 재흡수를 차단하여 K⁺ 배출을 유도.
- 효과: 신장이 남아 있는 CKD 3~4단계 환자에서 효과적 (무뇨성 ESRD 환자에서는 효과 없음).
(2) 장을 통한 배설 (GI excretion, K⁺ binding)
- Sodium polystyrene sulfonate (Kayexalate, 15~30g PO/PR)
- 작용 기전:
- 장에서 Na⁺와 K⁺을 교환하여 칼륨을 변으로 배출.
- 효과: 2~6시간 후 효과 발현, CKD 환자에서 유용.
- 주의: 장폐색 및 심한 변비 가능.
- Patiromer (Veltassa, 8.4~25.2g PO)
- 작용 기전:
- 칼슘 기반 칼륨 결합제로, 장에서 K⁺을 결합하여 배설.
- 효과: 4~7시간 후 작용 시작.
- 주의: 다른 약물과 3시간 이상 간격을 두고 복용해야 함.
- Zirconium cyclosilicate (Lokelma, 5~15g PO)
- 작용 기전:
- Na⁺/H⁺과 K⁺ 교환하여 K⁺을 장에서 제거.
- 효과: 1시간 이내 K⁺ 감소 시작, 48시간 내 최대 효과.
(3) 투석을 통한 배설 (Renal replacement therapy, RRT)
- 혈액투석(HD)
- 작용 기전:
- 투석을 통해 혈중 K⁺을 직접 제거.
- 효과: 1~2시간 내 빠르게 K⁺ 감소.
- 적응증: 중증 고칼륨혈증(K⁺ > 6.5mmol/L), 약물 치료 실패, 무뇨성 ESRD 환자.
2. 비응급 상황 (K⁺ 5.5~6.5 mmol/L, 심전도 이상 없음)
✅ 생활 습관 조절 + 약물 조절 + 저칼륨 식이를 병행해야 합니다.
1) 생활 습관 및 식이 조절
- 저칼륨 식이 (하루 2g 이하)
- 바나나, 감자, 오렌지, 토마토, 견과류 제한.
- 채소 섭취 시 물에 담가 칼륨 제거 후 섭취.
- ACEi/ARB, K⁺-sparing diuretics 중단
- CKD 환자의 RAAS 억제제(ACEi, ARB)는 고칼륨혈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용량 조절이 필요.
- 탄산수소나트륨(NaHCO₃) 복용
- CKD 환자의 만성 대사성 산증을 교정하여 K⁺을 감소시킴.
치료법
|
작용 기전
|
효과 발현 시간
|
사용 상황
|
Ca-gluconate
|
심근 안정화
|
즉시
|
심전도 이상 시
|
Insulin + Dextrose
|
K⁺ 세포 내 이동
|
30분 내
|
응급 치료
|
β2-Agonist (Salbutamol)
|
K⁺ 세포 내 이동
|
30분 내
|
추가적 K⁺ 이동
|
Loop Diuretics
|
신장 K⁺ 배출
|
수 시간 내
|
신기능 남아 있는 CKD
|
Sodium polystyrene sulfonate
|
K⁺ 장 배출
|
2~6시간
|
CKD 환자에서 사용
|
Patiromer, Zirconium
|
K⁺ 장 배출
|
1~7시간
|
만성 치료
|
Hemodialysis
|
혈중 K⁺ 제거
|
1~2시간
|
중증 고칼륨혈증
|
- 셀 병합
- 행 분할
- 열 분할
- 너비 맞춤
- 삭제
➡ CKD 환자에서 고칼륨혈증이 발생하면 신속한 평가 후 치료 방법을 결정해야 합니다.
응급 상황에서는 심장 보호 → K⁺ 이동 → K⁺ 제거를 병행하고, 비응급 상황에서는 식이 조절과 약물 조정이 핵심
반응형
'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Tall T wave(높은 T파) 쉽게 보는 법 (0) | 2025.03.19 |
---|---|
전해질 이상과 관련된 심전도(EKG) 변화 (0) | 2025.03.19 |
Renal Scan (DTPA) 결과 (0) | 2025.03.17 |
신기능(Renal Function)에 따라 용량 조절(Renal Dosing)해야 하는 약제 (0) | 2025.03.11 |
UTI (Urinary Tract Infection, 요로감염) & APN (Acute Pyelonephritis, 급성 신우신염) (0) | 2025.03.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