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신기능(Renal Function)에 따라 용량 조절(Renal Dosing)해야 하는 약제
📌 신장 기능이 저하된 환자에서 약물 배설이 감소할 수 있으므로, 용량을 조절하지 않으면 약물 축적에 의해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음.
📌 신기능 감소(EGFR, CrCl)에 따라 용량 조절이 필요한 약물을 정리함.
1️⃣ 항생제(Antibiotics)
✅ 용량 조절 필수 (신장 배설 비율 높음)
약제군약물 예시CrCl 기준 용량 조절 필요
베타락탐 (Beta-lactams) | 페니실린G, 암피실린, 피페라실린 | CrCl < 50ml/min |
세팔로스포린 (Cephalosporins) | 세프트리악손 제외한 모든 약물 | CrCl < 50ml/min |
카바페넴 (Carbapenems) | 메로페넴, 이미페넴, 에르타페넴 | CrCl < 50ml/min |
아미노글리코사이드 (Aminoglycosides) | 겐타마이신, 아미카신, 토브라마이신 | CrCl < 60ml/min (TDM 필요) |
퀴놀론 (Fluoroquinolones) | 시프로플록사신, 레보플록사신 | CrCl < 50ml/min |
글리코펩타이드 (Glycopeptides) | 반코마이신, 테이코플라닌 | CrCl < 50ml/min (TDM 필요) |
설폰아미드 (Sulfonamides) | 트리메토프림/설파메톡사졸(TMP/SMX) | CrCl < 30ml/min |
항진균제 (Antifungals) | 플루코나졸 | CrCl < 50ml/min |
📌 주의:
- 반코마이신 & 아미노글리코사이드 → TDM (혈중 농도 모니터링) 필수
- 시프로플록사신, 레보플록사신 → 용량 감량 필요 (목시플록사신은 신배설 적음)
- 세프트리악손(Ceftriaxone) → 신기능과 무관, 용량 조절 불필요
2️⃣ 항바이러스제(Antivirals)
✅ 신장 배설이 많아 용량 조절 필요
약제군약물 예시CrCl 기준 용량 조절 필요
항헤르페스바이러스제 | 아시클로버(Acyclovir), 발라사이클로버(Valacyclovir) | CrCl < 50ml/min |
HIV 치료제 | 테노포비르(TDF), 아바카비르, 라미부딘 | CrCl < 50ml/min |
인플루엔자 치료제 | 오셀타미비르(Oseltamivir) | CrCl < 30ml/min |
C형간염 치료제 | 리바비린(Ribavirin) | CrCl < 50ml/min |
📌 주의:
- 아시클로버, 발라사이클로버 → 신독성 위험 높아 충분한 수액 공급 필요
- 테노포비르(TDF) → 신장 독성 위험 있어 CrCl <30 ml/min에서 사용 피함
3️⃣ 항응고제(Anticoagulants) 및 항혈소판제(Antiplatelets)
✅ 신장 기능 저하 시 출혈 위험 증가
약제군약물 예시CrCl 기준 용량 조절 필요
비타민 K 길항제 | 와파린(Warfarin) | 용량 조절 불필요 (간대사) |
NOACs | 리바록사반(Rivaroxaban), 다비가트란(Dabigatran), 에독사반(Edoxaban) | CrCl < 50ml/min |
LMWH (저분자량 헤파린) | 에녹사파린(Enoxaparin) | CrCl < 30ml/min |
항혈소판제 | 클로피도그렐(Clopidogrel) | 용량 조절 불필요 |
📌 주의:
- 리바록사반, 다비가트란 → CrCl <30ml/min에서 금기
- 에녹사파린(LMWH) → CrCl <30ml/min이면 용량 감량
- 와파린은 신기능과 관계없이 용량 조절 불필요
4️⃣ 심혈관계 약물 (Cardiovascular Drugs)
✅ 신기능에 따라 약물 축적 가능
약제군약물 예시CrCl 기준 용량 조절 필요
ACEi/ARB | 리시노프릴, 로사르탄 | CrCl < 30ml/min 시 주의 |
베타차단제 | 아테놀롤, 나돌롤 | CrCl < 30ml/min |
이뇨제 | 푸로세미드, 히드로클로로티아지드(HCTZ) | CrCl < 30ml/min |
강심제 | 디곡신(Digoxin) | CrCl < 50ml/min (TDM 필요) |
📌 주의:
- 디곡신(Digoxin) → 신기능 저하 시 축적 위험, 혈중 농도 모니터링(TDM) 필수
- ACEi/ARB → 고칼륨혈증(Hyperkalemia) 발생 가능
5️⃣ 당뇨병 치료제(Antidiabetic Drugs)
✅ 신기능 저하 시 저혈당 및 젖산산증 위험 증가
약제군약물 예시CrCl 기준 용량 조절 필요
메트포르민 | Metformin | CrCl < 30ml/min 금기 |
설폰요소제 (SU계열) | 글리벤클라마이드, 글리메피라이드 | CrCl < 30ml/min |
SGLT2 억제제 | Dapagliflozin, Empagliflozin | CrCl < 45ml/min |
DPP-4 억제제 | 시타글립틴(Sitagliptin), 빌다글립틴 | CrCl < 50ml/min |
📌 주의:
- 메트포르민 → CrCl <30ml/min에서 금기 (젖산산증 위험 증가)
- SGLT2 억제제 → CrCl <45ml/min에서 효과 감소, 사용 제한
6️⃣ 진통제 및 기타 약물
✅ 신장 기능 저하 시 독성 위험 증가
약제군약물 예시CrCl 기준 용량 조절 필요
NSAIDs | 이부프로펜, 나프록센 | CrCl < 30ml/min 피하기 |
아편유사제 (Opioids) | 모르핀, 하이드로모르폰 | CrCl < 30ml/min |
조영제 (Contrast agents) | 요오드화 조영제 | 신기능 저하 시 신독성 위험 |
📌 주의:
- NSAIDs → 신장 혈류 감소로 급성 신손상(AKI) 유발 가능
- 모르핀 → CrCl <30ml/min에서 대사산물 축적으로 인한 호흡억제 위험
📌 결론
- CrCl < 50ml/min 이하에서는 신기능에 따라 약물 용량 조절 필요
- 항생제, 항응고제, 당뇨병약, 심혈관계 약물 등 다수의 약물이 신기능에 영향 받음
- 특히 반코마이신, 아미노글리코사이드, 디곡신 등은 혈중 농도 모니터링(TDM)이 필수적
- 메트포르민, SGLT2 억제제, NSAIDs 등은 신기능 저하 시 사용 제한 필요
반응형
'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Hyperkalemia (0) | 2025.03.17 |
---|---|
Renal Scan (DTPA) 결과 (0) | 2025.03.17 |
UTI (Urinary Tract Infection, 요로감염) & APN (Acute Pyelonephritis, 급성 신우신염) (0) | 2025.03.11 |
소변배양검사(Urine Culture) 결과 해석 (0) | 2025.03.11 |
혈액배양검사(Blood Culture) 결과 해석 (0) | 2025.03.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