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

Renal Scan (DTPA) 결과

by 글래스팤 2025. 3. 17.
반응형

Renal Scan (DTPA) 결과

DTPA(디에틸렌트리암펜타아세트산) 신장 스캔은 신장의 혈류, 여과 기능(GFR), 배설 기능을 평가하는 핵의학 검사입니다. DTPA는 신장에서 여과되어 배설되기 때문에, 이를 이용해 신장 기능을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습니다.


1️⃣ 주요 평가 항목

1. 신장 혈류 (Renal Perfusion)

의미: 조영제가 신장으로 얼마나 잘 도달하는지 확인
정상: 신장으로의 혈류 공급이 대칭적으로 빠르게 증가
비정상: 혈류 공급이 느리거나 좌/우 신장 간 차이가 클 경우 신혈관질환(Renal artery stenosis), 혈관 손상 의심


2. 신장 여과 기능 (Glomerular Filtration Rate, GFR)

의미: 신장이 얼마나 효과적으로 혈액을 여과하는지 평가
정상: 양쪽 신장의 GFR이 유사하며, 각 신장이 전체 GFR의 40~60%를 차지
비정상:

  • 한쪽 신장의 기능이 저하 → 신동맥 협착(Renal artery stenosis), 신우신염(Pyelonephritis) 가능성
  • 전체적으로 낮은 GFR → 만성 신부전(Chronic Kidney Disease, CKD) 가능성

💡 수치 기준 (성인 기준)

  • 정상 GFR: 90~120 mL/min/1.73m²
  • 경증 감소: 60~89 mL/min/1.73m²
  • 중등도 감소: 30~59 mL/min/1.73m²
  • 심한 감소: 15~29 mL/min/1.73m²
  • 15 미만 → 말기 신부전(End-Stage Renal Disease, ESRD)

3. 신장 배설 기능 (Renal Excretion)

의미: 신장에서 여과된 조영제가 정상적으로 배출되는지 평가
정상: DTPA가 신장에서 방광으로 원활하게 이동
비정상:

  • 배출 지연: 요로폐색(Ureteral obstruction), 신우신염, 신장 기능 저하 가능성
  • 편측 배출 저하: 한쪽 신장 기능이 저하된 경우 신장 기능 부전, 폐쇄성 질환(Obstruction) 가능성

💡 일반적인 배설 시간 기준

  • 정상: 반감기(T½) ≤ 15분
  • 지연: 반감기(T½) > 20분 → 요로 폐색 가능성

4. 신장 기능 비율 (Relative Renal Function)

의미: 양쪽 신장의 기능이 균형을 이루는지 평가
정상: 좌/우 신장이 전체 신장 기능의 40~60%를 담당
비정상: 한쪽 신장이 35% 이하로 기능할 경우, 해당 신장의 기능 저하 가능성


2️⃣ Renal Scan 결과 해석 예시

항목정상이상 소견
신장 혈류 양쪽 신장 혈류 대칭적 한쪽 또는 양쪽 혈류 저하 (혈관 협착, 허혈성 손상 가능)
신장 여과 (GFR) 90~120 mL/min/1.73m² 한쪽 감소 → 신동맥 협착, 감염 / 전체 감소 → 신부전
신장 배설 (Excretion) 반감기 ≤ 15분 배설 지연(T½ > 20분) → 요로 폐색 가능
신장 기능 비율 좌/우 40~60% 한쪽이 35% 이하 → 기능 저하

3️⃣ 추가 고려 사항

ACE 억제제 사용 시 변화 확인

  • 신혈관성 고혈압(Renal artery stenosis)이 의심되면 ACE 억제제(카프토프릴 등)를 투여 후 변화를 확인
    다른 영상 검사와 함께 해석
  • CT, MRI, 신장 초음파 등의 결과와 함께 비교하면 더 정확한 진단 가능
    반복 검사를 통한 기능 변화 평가
  • 신장 기능이 점진적으로 저하되는지 모니터링 필요

🔹 결론

DTPA renal scan은 신장 혈류, 여과(GFR), 배설 기능, 양측 기능 분포를 평가하는 검사입니다.
결과에서 혈류 저하, 여과 기능 감소, 배설 지연, 신장 기능 불균형 등이 보이면 신장 질환 가능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결과 해석이 어려우면 GFR 수치, 반감기(T½), 좌우 기능 비율을 확인

 

Renal Scan에서 RI 값 (Resistive Index, 저항 지수)란?

**RI (Resistive Index, 저항 지수)**는 신장 혈류의 저항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이는 도플러 초음파(Doppler Ultrasound) 또는 **핵의학 검사(Renal Scan, DTPA 등)**에서 측정할 수 있으며, 주로 신장 혈관의 혈류 저항을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1️⃣ RI (Resistive Index) 공식

RI=(SystolicVelocity−DiastolicVelocity)SystolicVelocityRI = \frac{(Systolic Velocity - Diastolic Velocity)}{Systolic Velocity}

  • Systolic Velocity (Vs): 수축기 혈류 속도 (Peak Systolic Velocity, PSV)
  • Diastolic Velocity (Vd): 이완기 혈류 속도 (End Diastolic Velocity, EDV)

💡 쉽게 말하면?
RI 값이 높으면 혈류 저항이 증가 → 신장으로 가는 혈류 공급이 어려울 가능성이 높음.


2️⃣ 정상 RI 값과 비정상 기준

RI 값의미
0.50 ~ 0.70 정상 범위 (신장 혈류 저항이 정상)
> 0.70 (70%) 신장 혈류 저항 증가 → 신동맥 협착, 급성 신부전, 만성 신질환 가능성
> 0.80 (80%) 심각한 혈류 장애 → 말기 신부전(ESRD), 신장 이식 거부 반응 가능성

3️⃣ RI 값이 증가하는 원인 (비정상적으로 높은 경우)

🔹 혈관 문제

  • 신동맥 협착(Renal Artery Stenosis, RAS)
  • 고혈압으로 인한 신장 손상 (Hypertensive Nephropathy)
  • 신혈관 질환(Renal Vascular Disease)

🔹 신장 질환

  • 급성 신부전(Acute Kidney Injury, AKI)
  • 만성 신부전(Chronic Kidney Disease, CKD)
  • 당뇨병성 신증(Diabetic Nephropathy)
  • 신장 이식 후 거부 반응(Renal Transplant Rejection)

🔹 폐색 및 울혈

  • 요관 폐색(Ureteral Obstruction)
  • 신우신염(Pyelonephritis), 감염성 신장 질환

4️⃣ RI 값 해석 예시

RI 값의심되는 질환추가 검사 필요 여부
0.50 ~ 0.70 정상 추가 검사 불필요
0.70 ~ 0.80 신동맥 협착, 초기 신장 질환 가능성 혈압 및 GFR 검사 추가 필요
> 0.80 말기 신부전, 폐색, 신이식 거부반응 가능 정밀 검사 및 치료 필요

5️⃣ RI 값이 중요한 이유?

고혈압 환자에서 신장 혈류 저항 평가 가능
신동맥 협착(RAS) 여부를 조기에 발견할 수 있음
급성 및 만성 신장 질환을 구별하는 데 도움
신장 이식 후 거부 반응을 모니터링하는 데 유용


🔹 결론

Renal Scan에서 RI 값신장 혈류 저항을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 0.50~0.70은 정상,
  • 0.70 이상이면 혈류 저항 증가 가능성,
  • 0.80 이상이면 심각한 신장 혈류 장애 가능성

📌 만약 RI 값이 높게 나왔다면, GFR, 혈압, 신장 기능 검사(Creatinine, BUN)와 함께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중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