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

전해질 이상과 관련된 심전도(EKG) 변화

by 글래스팤 2025. 3. 19.
반응형

📌 전해질 이상과 관련된 심전도(EKG) 변화 총정리!

전해질 이상은 심전도(EKG)에 다양한 변화를 일으킬 수 있어요!
특히 칼륨(K+), 칼슘(Ca2+), 마그네슘(Mg2+)의 농도가 심장 전도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각각의 특징적인 심전도 변화를 잘 알아두면 빠르게 진단할 수 있습니다.


1️⃣ 고칼륨혈증 (Hyperkalemia, K+ > 5.5 mEq/L)

Tall, peaked T wave (뾰족하고 대칭적인 T파) → 가장 특징적
✔ PR 간격 연장, P파 소실 → 심한 경우 P파가 사라짐
QRS widening → 점점 넓어지다가 Sine wave pattern (파형이 사인파처럼 변함)
Severe → 심정지(VF, Asystole)로 진행 가능

🔹 EKG 변화 진행 단계

  • K+ 5.5~6.5 → Tall T wave
  • K+ 6.5~7.5 → P wave 소실, PR 연장
  • K+ 7.5~8.0 → QRS widening
  • K+ > 8.0 → Sine wave → 심정지

대처:
🔹 칼슘(Ca) 투여 (심장 보호)
🔹 인슐린+포도당, 베타작용제(살부타몰) → K+ 세포 내 이동
🔹 투석 필요할 수도 있음


2️⃣ 저칼륨혈증 (Hypokalemia, K+ < 3.5 mEq/L)

Flat T wave, U wave (U파 증가) → 가장 특징적
ST depression, QT interval 연장
PVCs(조기심실수축), Torsades de Pointes 위험 증가

대처:
🔹 K+ 보충 (IV or PO)
🔹 심한 경우 마그네슘(Mg2+)도 함께 보충


3️⃣ 고칼슘혈증 (Hypercalcemia, Ca2+ > 10.5 mg/dL) 🦴

QT 단축 → T wave와 QRS가 가까워짐
✔ 심한 경우 J wave (Osborn wave) 발생 가능

대처:
🔹 수액 공급, 이뇨제 사용 (Ca 배출)
🔹 칼시토닌, 비스포스포네이트 사용


4️⃣ 저칼슘혈증 (Hypocalcemia, Ca2+ < 8.5 mg/dL) 🦴

QT 연장Torsades de Pointes 위험 증가
ST segment prolongation
✔ 심한 경우 경련(테타니, Chvostek/Trousseau sign 동반 가능)

대처:
🔹 IV calcium gluconate 투여
🔹 심한 경우 칼슘 주입 유지 필요


5️⃣ 저마그네슘혈증 (Hypomagnesemia, Mg2+ < 1.5 mg/dL)

QT 연장 → Torsades de Pointes 위험 증가
✔ 심한 경우 심실성 부정맥(VT, VF) 유발 가능

대처:
🔹 IV magnesium sulfate 투여 (특히 Torsades de Pointes 시 필수!)


📌 전해질 이상 EKG 정리 (한눈에 보기!)

전해질 이상EKG 변화위험한 부정맥
고칼륨혈증 Tall T wave, P파 소실, QRS widening, Sine wave 심정지(Asystole, VF)
저칼륨혈증 Flat T wave, U wave, ST depression, QT 연장 PVC, Torsades de Pointes
고칼슘혈증 QT 단축, J wave (심한 경우) 상대적으로 위험 낮음
저칼슘혈증 QT 연장, ST prolongation Torsades de Pointes
저마그네슘혈증 QT 연장 Torsades de Pointes, VT/VF

✅ 전해질 이상을 의심해야 할 상황!

💡 Tall T wave → 고칼륨혈증 먼저 의심!
💡 QT 연장 → 저칼륨, 저칼슘, 저마그네슘 가능성 고려!
💡 U wave 보이면? → 저칼륨혈증 가능성 큼!
💡 Torsades de Pointes 발생 → 저마그네슘 가능성 큼!

반응형

'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Thyroid goiter  (0) 2025.03.19
Tall T wave(높은 T파) 쉽게 보는 법  (0) 2025.03.19
Hyperkalemia  (0) 2025.03.17
Renal Scan (DTPA) 결과  (0) 2025.03.17
신기능(Renal Function)에 따라 용량 조절(Renal Dosing)해야 하는 약제  (0) 2025.03.1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