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UTI (Urinary Tract Infection, 요로감염) & APN (Acute Pyelonephritis, 급성 신우신염)
요로감염(UTI) 은 세균이 요로계(방광, 신장 등)에 감염을 일으키는 질환이며, 급성 신우신염(APN) 은 감염이 상부요로(신장)로 확산된 심각한 형태의 UTI입니다.
🔹 1. 요로감염(UTI) 개요
✅ 정의:
- 방광, 신장, 요관 또는 요도에서 발생하는 감염
- 하부요로감염 (방광염, Cystitis) vs. 상부요로감염 (신우신염, Pyelonephritis)
✅ 유형:
유형정의특징
단순 UTI (Uncomplicated UTI) | 건강한 비임신 여성에서 발생 | 치료 반응 양호 |
복합 UTI (Complicated UTI) | 남성, 임산부, 면역저하자, 기저 질환(신장질환, 당뇨) | 치료 어려움, 재발 위험 |
재발성 UTI (Recurrent UTI) | 6개월 내 2회 이상, 1년 내 3회 이상 감염 발생 | 예방적 치료 필요 |
🔹 2. 원인균 (Causative Organisms)
✅ 가장 흔한 원인균
- E. coli (Escherichia coli) → 전체 UTI의 80~90%
- Klebsiella pneumoniae
- Proteus mirabilis (요석 형성 가능)
- Enterococcus spp. (특히 병원감염)
- Pseudomonas aeruginosa (다제내성균 포함 가능)
✅ 고위험군
- 병원감염(Healthcare-Associated UTI, HA-UTI) → 다제내성균(ESBL, CRE) 가능성 증가
- 반복 감염 환자 → 특정 내성균 확인 필요
🔹 3. UTI vs. APN 증상 비교
구분UTI (방광염, Cystitis)APN (신우신염, Pyelonephritis)
전신 증상 | 없음 | 발열(>38℃), 오한, 전신 쇠약감 |
배뇨 증상 | 배뇨통, 빈뇨, 긴박뇨 | 배뇨통, 빈뇨, 긴박뇨 |
신장 증상 | 없음 | 측복부 통증(CVA tenderness), 허리 통증 |
소변 색 변화 | 탁한 소변, 혈뇨 가능 | 농뇨, 혈뇨 가능 |
오심/구토 | 없음 | 흔함 |
🔹 4. 진단 (Diagnosis)
✅ 1) 소변 검사 (Urinalysis)
- 백혈구(↑, Pyuria) → 감염 시 증가
- 세균(↑, Bacteriuria) → 균이 존재하면 양성
- 질산염(↑, Nitrite-positive) → 그람음성균(E. coli) 감염 시 양성
- 단백뇨, 혈뇨(↑) 가능
✅ 2) 소변배양(Urine Culture)
- ≥10⁵ CFU/mL → 의미 있는 감염
- 항생제 감수성 검사 → 적절한 항생제 선택에 필수
✅ 3) 혈액 검사 (APN 의심 시)
- 백혈구(WBC) 증가, CRP 상승
- 혈액배양(Blood Culture) 필요 (패혈증 의심 시)
✅ 4) 영상 검사 (APN 의심 시)
- 신장초음파(Kidney USG): 신우 확장, 농양 확인 가능
- CT 요로조영술(CT Urography): 심한 신우신염, 농양, 폐색 여부 확인
🔹 5. 치료 (Treatment)
1️⃣ 단순 요로감염 (Uncomplicated Cystitis)
✅ 1차 항생제 (경구 치료, 3~5일)
- Nitrofurantoin 100mg PO BID (5일)
- Fosfomycin 3g 단회 복용 (Single dose)
-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TMP/SMX) 160/800mg PO BID (3일)
✅ 대체 항생제
- Ciprofloxacin 250mg PO BID (3일)
- Cefpodoxime, Cefixime 등 3세대 경구 세팔로스포린
📌 단순 감염의 경우 3~5일간 짧은 치료 가능
📌 Fluoroquinolone(퀴놀론)은 신우신염이 아닌 이상 1차 선택제 아님
2️⃣ 급성 신우신염 (APN, Acute Pyelonephritis)
✅ 경증 (경구 치료 가능)
- Ciprofloxacin 500mg PO BID (7일)
- Levofloxacin 750mg PO QD (5~7일)
-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TMP/SMX) 160/800mg PO BID (7~14일)
✅ 중증 (입원 + 정맥 치료 필요)
- Ceftriaxone 1~2g IV QD
- Piperacillin/Tazobactam 3.375g IV Q6H
- Ertapenem 1g IV QD (ESBL 감염 시 고려)
📌 중증 감염에서는 IV 항생제 후 경구 전환 가능
📌 치료 기간: 7~14일
3️⃣ 복합 요로감염 (Complicated UTI, 면역저하, 남성, 기저질환 동반)
✅ IV 항생제 필요 (10~14일)
- Cefepime, Piperacillin/Tazobactam (중증 감염)
- Carbapenem (ESBL 감염 의심 시, 예: Meropenem 1g IV Q8H)
📌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 치료 기간 연장 필요
📌 항생제 감수성 검사 결과에 따라 조정
🔹 6. 예방 및 관리
✅ 생활 습관 개선
- 충분한 수분 섭취 (하루 2L 이상)
- 배뇨 후 앞에서 뒤로 닦기 (여성)
- 배뇨 후 방광 비우기 (특히 성관계 후)
✅ 예방적 항생제 치료 (Recurrent UTI)
- Nitrofurantoin, TMP/SMX 저용량 장기 복용 가능
- 호르몬 요법 (폐경 여성의 경우 에스트로겐 크림 사용 고려)
✅ 요로감염 위험군
- 반복 감염자는 방광경(Cystoscopy) 또는 신장 영상 검사 고려
- 신장 결석, 요로 폐색이 있는 경우 근본적인 원인 해결 필요
📌 결론
- UTI(방광염)와 APN(신우신염)은 감염의 범위와 심각도에 따라 구분됨
- 소변배양 검사(CFU ≥10⁵)와 항생제 감수성 검사(AST)를 통해 적절한 치료 선택 필요
- APN은 전신 감염으로 진행될 위험이 있으므로 중증 시 입원 치료 고려
- 재발성 UTI는 예방적 항생제 또는 생활 습관 개선이 중요
📌 UTI는 신속한 진단과 적절한 항생제 선택이 중요하며, APN은 패혈증 진행 가능성이 있으므로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
반응형
'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nal Scan (DTPA) 결과 (0) | 2025.03.17 |
---|---|
신기능(Renal Function)에 따라 용량 조절(Renal Dosing)해야 하는 약제 (0) | 2025.03.11 |
소변배양검사(Urine Culture) 결과 해석 (0) | 2025.03.11 |
혈액배양검사(Blood Culture) 결과 해석 (0) | 2025.03.11 |
CDAD (Clostridioides difficile-associated diarrhea, C. difficile 감염 관련 설사) (0) | 2025.03.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