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55 세팔로스포린(Cephalosporins) 계열 항생제 – 세대별 분류 및 특징 세팔로스포린(Cephalosporins) 계열 항생제 – 세대별 분류 및 특징세팔로스포린은 베타락탐 계열 항생제로 세균의 세포벽 합성을 억제하여 작용합니다.세대가 증가할수록 그람양성균(Gram-positive)에서 그람음성균(Gram-negative)으로 커버리지가 확대되며, 3세대 이후부터는 항균 스펙트럼이 그람음성균에 더 강해짐이 특징입니다.🔹 1세대 세팔로스포린 (1st Generation)✅ 특징:그람양성균(Gram-positive) 효과 강함주요 대상: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연쇄상구균(Streptococcus)그람음성균(Gram-negative)에 대한 효과 제한적✅ 대표 약물:경구제 (PO): 세팔렉신(Cephalexin)정맥제 (IV): 세파졸린(Cefazolin)✅ 임.. 2025. 3. 11. CIN (Contrast-Induced Nephropathy) Prophylaxis CIN (Contrast-Induced Nephropathy) 예방 (Prophylaxis)Contrast-Induced Nephropathy(CIN)는 조영제 사용 후 발생하는 급성 신손상(AKI)으로 정의됩니다. 일반적으로 조영제 투여 후 48~72시간 이내에 혈청 크레아티닌(SCr)이 25% 이상 증가하거나, 0.5 mg/dL 이상 상승하는 경우 CIN으로 진단됩니다.1. CIN 예방(Prophylaxis) 전략(1) 고위험군 환자 선별CIN 예방은 고위험군 환자에서 우선적으로 고려됩니다. 고위험군은 다음과 같습니다.기저 신기능 저하(Kidney Disease)eGFR 당뇨병성 신증(Diabetic Nephropathy)탈수 상태(Dehydration)고령(Advanced Age)다량의 조영제 사용.. 2025. 3. 11. Brain CT vs. Brain MRI 차이 📌 1. Brain CT vs. Brain MRI 차이Brain CTBrain MRI촬영 속도빠름 (응급 시 선호)상대적으로 느림 (20~40분 소요)출혈(뇌출혈) 감별우수 (초기 출혈 확인 가능)뇌출혈도 확인 가능하지만, 급성기에서는 CT 선호뇌경색(중풍) 감별초기엔 감별 어려움 (6시간 이후 변화 감지)확산강조영상(DWI)에서 초기에 뇌경색 감별 가능뇌종양 감별대략적인 병변 크기 확인병변의 성질까지 확인 가능 (조영제 사용 시 더 정확)방사선 노출있음 (X-ray 기반)없음적응증뇌출혈, 두부외상, 급성 신경학적 이상뇌경색, 뇌종양, 뇌혈관 질환, 다발성경화증(MS)✔ 응급 상황 (두부외상, 뇌출혈 의심) → Brain CT✔ 뇌경색, 뇌종양, 신경계 질환 감별 필요 → Brain MRI📌 2. B.. 2025. 3. 11. PPI와 H2 Blocker의 작용 기전 PPI와 H2 Blocker의 작용 기전 비교PPI (Tegoprazan, Esomeprazole 등)H2 Blocker (Famotidine 등)작용 위치위산을 분비하는 양성자 펌프(PP) 차단위산 분비를 조절하는 H2 수용체 차단효과강력한 위산 억제 (기본적으로 24시간 작용)PPI보다는 약하지만, 위산 분비를 억제산 억제 지속 시간오래 지속 (24시간 이상)6~12시간 지속내성 발생 여부내성 없음장기 사용 시 내성 (Tolerance) 발생 가능❌ PPI + H2 Blocker 병용 시 문제점H2 Blocker가 PPI의 효과를 감소시킴PPI는 활성화되려면 위산이 필요한데, H2 Blocker가 먼저 위산 분비를 억제하면 PPI가 활성화되지 못하고 효과가 감소할 수 있음.H2 Blocker 사용 시.. 2025. 3. 11. 이전 1 ··· 6 7 8 9 10 11 12 ··· 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