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1. Brain CT vs. Brain MRI 차이
Brain CTBrain MRI
촬영 속도 | 빠름 (응급 시 선호) | 상대적으로 느림 (20~40분 소요) |
출혈(뇌출혈) 감별 | 우수 (초기 출혈 확인 가능) | 뇌출혈도 확인 가능하지만, 급성기에서는 CT 선호 |
뇌경색(중풍) 감별 | 초기엔 감별 어려움 (6시간 이후 변화 감지) | 확산강조영상(DWI)에서 초기에 뇌경색 감별 가능 |
뇌종양 감별 | 대략적인 병변 크기 확인 | 병변의 성질까지 확인 가능 (조영제 사용 시 더 정확) |
방사선 노출 | 있음 (X-ray 기반) | 없음 |
적응증 | 뇌출혈, 두부외상, 급성 신경학적 이상 | 뇌경색, 뇌종양, 뇌혈관 질환, 다발성경화증(MS) |
✔ 응급 상황 (두부외상, 뇌출혈 의심) → Brain CT
✔ 뇌경색, 뇌종양, 신경계 질환 감별 필요 → Brain MRI
📌 2. Brain CT 보는 법 (기본 판독 가이드)
Brain CT는 흑백 음영 차이를 이용해 판독합니다.
- 뼈 (두개골) → 가장 밝게(흰색) 보임
- 뇌척수액 (CSF, 뇌실) → 어둡게(검은색) 보임
- 뇌조직 → 회색조(gray scale)
- 출혈 (뇌출혈) → 초기에는 흰색(고밀도) 으로 보임
- 경색 (뇌경색) → 어두운 영역(저밀도) 으로 보임
✅ Brain CT에서 중요한 이상 소견
소견특징의심 질환
고밀도(흰색) | 뇌 안에 밝게 보이는 영역 | 출혈 (뇌출혈, 경막하출혈, 지주막하출혈) |
저밀도(검은색) | 뇌 조직보다 어둡게 보임 | 뇌경색 (6시간 이후 변화), 뇌부종 |
중앙선 편위(Shift) | 뇌 정중선이 한쪽으로 밀려 있음 | 뇌부종, 종양, 출혈로 인한 압박 |
뇌실 확장 | 뇌척수액 공간이 커짐 | 수두증 (뇌척수액 증가) |
점상 출혈 (tiny spots) | 작은 출혈성 병변 | 외상성 뇌출혈, 미세출혈 |
🔹 뇌출혈(Brain Hemorrhage) 판독 포인트
- 출혈은 흰색(고밀도) 으로 보임
- 위치에 따라 뇌내출혈(ICH), 경막하출혈(SDH), 지주막하출혈(SAH) 감별
✔ 갑자기 의식 저하, 심한 두통, 구토가 있으면 응급 CT 필수
📌 3. Brain MRI 보는 법 (기본 판독 가이드)
Brain MRI는 여러 시퀀스를 이용하여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MRI는 CT보다 판독이 어렵지만, 핵심적인 시퀀스(촬영 모드)만 이해하면 쉽게 볼 수 있습니다.
✅ 주요 MRI 시퀀스 & 보는 법
MRI 모드특징용도
T1 강조영상 (T1WI) | 뇌 구조가 선명, CSF(뇌척수액)는 검은색 | 뇌 해부학적 구조 확인 |
T2 강조영상 (T2WI) | CSF(뇌척수액) 밝게 보임, 부종 확인 용이 | 뇌부종, 뇌염, 종양 감별 |
FLAIR | T2에서 CSF 신호 억제 | 경색, 다발성경화증(MS) 감별 |
Diffusion (DWI) | 급성 뇌경색에서 병변이 밝게 보임 | 급성기 뇌경색(6시간 이내 감별 가능) |
ADC Map | DWI에서 밝게 보인 병변이 진짜 경색인지 확인 | DWI와 함께 비교 판독 |
MRA (뇌혈관 조영술) | 뇌혈관 구조 확인 | 뇌동맥류, 협착, 혈전 감별 |
🔹 뇌경색(Stroke) 판독 포인트
✔ 급성기 뇌경색 (6시간 이내) → DWI에서 병변이 밝게 보임
✔ 만성기 뇌경색 (며칠~수주 경과) → T2, FLAIR에서 고신호로 보임
📌 4. 간호사가 알아야 할 응급 소견
💥 즉시 보고해야 할 CT/MRI 소견
- 고밀도(흰색) 병변 → 뇌출혈 가능성
- DWI에서 밝게 보이는 병변 → 급성 뇌경색 가능성
- 중앙선 편위 (midline shift) → 뇌부종, 종양, 출혈로 인한 뇌압 상승
- 뇌실 확장 → 급성 수두증 가능성
- 뇌동맥 폐색(MRA에서 혈관 결손) → 뇌경색 위험
✅ 환자가 의식 저하, 심한 두통, 사지 마비 증상이 있으면 즉시 의료진과 공유해야 합니다.
📌 5. 간호사가 실제 환자 모니터링 시 활용할 점
✔ 환자의 증상(두통, 어지러움, 마비 등)과 CT/MRI 소견을 연관 지어 생각
✔ CT에서 출혈이 있으면 혈압 관리, 응급 조치 준비
✔ MRI에서 뇌경색이 확인되면 항응고제, 혈전용해제 투여 고려 (발병 시간 중요)
✔ 중앙선 편위(Midline Shift) 있으면 뇌압 상승 징후(의식 저하, 동공 변화) 모니터링
📌 결론
- Brain CT는 빠르게 뇌출혈, 외상, 구조적 이상 감별 → 응급상황에서 1차 선택
- Brain MRI는 뇌경색, 종양, 신경계 질환 감별에 유용 → 정밀 검사가 필요할 때
- DWI에서 밝게 보이면 급성 뇌경색, CT에서 흰색 병변이면 뇌출혈 가능성
- 간호사는 CT/MRI 소견과 환자 증상을 연관 지어 모니터링하며, 응급상황 시 빠르게 보고해야 함
📌 이해하기 어려운 판독이 나오면 영상의학과, 신경과 협진을 요청하여 추가 설명을 듣는 것이 중요
반응형
'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팔로스포린(Cephalosporins) 계열 항생제 – 세대별 분류 및 특징 (0) | 2025.03.11 |
---|---|
CIN (Contrast-Induced Nephropathy) Prophylaxis (0) | 2025.03.11 |
PPI와 H2 Blocker의 작용 기전 (0) | 2025.03.11 |
위장약과 상호작용이 있는 혈압약 (0) | 2025.03.11 |
빈혈(Anemia) (0) | 2025.03.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