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55

심부전 환자를 위한 초여과(Ultrafiltration) 치료 심부전 환자를 위한 초여과(Ultrafiltration) 치료 1. 심부전과 초여과 치료의 필요성**심부전(Heart Failure, HF)**은 전 세계적으로 유병률과 사망률이 높은 질환이며, 입원율 및 재입원율이 높은 질환 중 하나기존 치료(이뇨제 등)의 한계:이뇨제 치료는 효과가 제한적이고, 이뇨제 저항성(Diuretic Resistance) 발생 가능기존 치료로 체액 제거가 충분하지 않음 → 체액 과부하 지속재입원율이 30일 내 30% 이상으로 높은 수준초여과(UF)의 필요성 증가:기존 치료의 한계를 보완하는 새로운 체액 제거 방법으로 주목받음기계적 방식으로 과잉 체액을 제거하여 심혈관 부담 감소2. 초여과(UF)의 기전 및 작용 원리초여과(UF):체액을 인위적으로 제거하는 치료법으로 혈류에서 일.. 2025. 2. 27.
PD 1. 복막투석의 개요 및 최신 동향복막투석(PD): 신대체요법의 한 형태로, 환자가 가정에서 직접 시행 가능미국 내 PD 증가:2009년 PD 환자 비율 6.9% → 2014년 9.7%로 증가비용 절감, 의료 정책 변화, 환자 교육 강화로 인해 증가PD vs 혈액투석(HD) 비교:비용: PD가 상대적으로 저렴 ($71,630 vs $87,945, 2011년 기준)생존율: 초기 18개월은 PD가 유리, 36개월 이후 HD가 우세2. 복막투석의 효과 및 생존율최근 연구 결과:PD 환자의 생존율이 점차 향상됨1993년 PD 사망률(47%) vs HD(28%) → 2012년 PD(1.55), HD(1.60)로 유사해짐심부전 환자에서 PD의 심장 보호 효과 가능성 (스피로놀락톤 연구)장점:혈관 접근 필요 없음 (.. 2025. 2. 27.
신증후군(Nephrotic Syndrome) 신증후군(Nephrotic Syndrome)  1. 신증후군(Nephrotic Syndrome)의 정의 및 특징정의:단백뇨 3.5g/day 이상저알부민혈증 (혈청 알부민 부종(Edema)고지질혈증(Hyperlipidemia) 및 고응고 상태(Hypercoagulability)발생 기전:사구체 투과성 증가 → 단백질 유출 증가 → 저알부민혈증 발생저알부민혈증 → 혈장 삼투압 감소 → 부종 유발간에서 보상적 지질 합성 증가 → 고지질혈증 발생응고 인자 변화 → 혈전 위험 증가2. 신증후군의 원인(1) 일차성 사구체 질환미세변화 신증후군(MCD, Minimal Change Disease)소아에서 가장 흔한 원인스테로이드 치료에 반응이 좋음국소 분절성 사구체 경화증(FSGS, Focal Segmental Glo.. 2025. 2. 27.
사구체신염의 치료 사구체신염의 치료  1. 사구체신염(Glomerulonephritis)의 개요정의:사구체에 염증이 발생하여 혈뇨, 단백뇨 및 신기능 저하를 유발하는 질환원인: 면역 이상, 감염, 유전적 요인 등병리학적 특징:면역복합체 형성 및 침착 → 사구체 손상 유발염증 반응 활성화 → 세포 증식 및 섬유화 진행결과적으로 신장 기능 저하 및 만성 신부전 진행 가능2. 사구체신염의 치료 원칙(1) 치료 목표신장 기능 보존 및 진행 속도 늦추기단백뇨 및 혈뇨 감소신증후군(Nephrotic syndrome) 조절고혈압 및 합병증 관리(2) 치료 전략면역억제 치료 (Immunosuppressive therapy)신장 조직 내 염증 및 면역 반응을 조절하여 손상 방지고용량 스테로이드, 칼시뉴린 억제제, 세포독성 약물, 리툭시맙.. 2025. 2.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