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신증후군(Nephrotic Syndrome)
1. 신증후군(Nephrotic Syndrome)의 정의 및 특징
- 정의:
- 단백뇨 3.5g/day 이상
- 저알부민혈증 (혈청 알부민 < 3.0g/dL)
- 부종(Edema)
- 고지질혈증(Hyperlipidemia) 및 고응고 상태(Hypercoagulability)
- 발생 기전:
- 사구체 투과성 증가 → 단백질 유출 증가 → 저알부민혈증 발생
- 저알부민혈증 → 혈장 삼투압 감소 → 부종 유발
- 간에서 보상적 지질 합성 증가 → 고지질혈증 발생
- 응고 인자 변화 → 혈전 위험 증가
2. 신증후군의 원인
(1) 일차성 사구체 질환
- 미세변화 신증후군(MCD, Minimal Change Disease)
- 소아에서 가장 흔한 원인
- 스테로이드 치료에 반응이 좋음
- 국소 분절성 사구체 경화증(FSGS, Focal Segmental Glomerulosclerosis)
- 신장 이식 후 재발 가능성이 높음
- 면역억제 치료 필요
- 막성 신증(Membranous Nephropathy)
- 성인에서 가장 흔한 신증후군 원인
- 자가면역 기전(PLA2R 항체 연관)
- 막증식성 사구체신염(MPGN, Membranoproliferative Glomerulonephritis)
- 희귀하지만 신증후군의 원인이 될 수 있음
- C3 보체 활성화와 연관됨
(2) 속발성(Secondary) 신증후군
- 당뇨병성 신증(Diabetic Nephropathy) → 가장 흔한 원인
- 전신 홍반성 루푸스(SLE)
- 아밀로이드증(Amyloidosis)
- 바이러스 감염 (HIV, Hepatitis B, C)
- 약물 유발 (NSAIDs, 금 제제, 페니실라민 등)
- 종양(암) 관련 신증후군
3. 신증후군의 병태생리
(1) 단백뇨 발생 기전
- 사구체 기저막의 음전하 손실 → 단백질, 특히 알부민이 소변으로 유출
- 사구체 발돌기(podocyte) 손상 → 필터링 기능 저하
(2) 부종(Edema) 발생 기전
- 혈장 삼투압 감소(저알부민혈증) → 체액이 혈관 밖으로 이동
- 신장의 나트륨 저류 증가 → 부종 심화
(3) 고지질혈증 발생 기전
- 간에서 보상적 지질 합성 증가 → LDL, VLDL 증가
- 신증후군 환자에서 LDL-C 증가, HDL 감소 경향
(4) 혈전 위험 증가
- 항응고 단백질(AT-III) 감소
- 응고 촉진 인자 증가 (피브리노겐, 인자 V, VIII 상승)
- 정맥 혈전(renal vein thrombosis), 폐색전증 위험 증가
4. 임상 증상 및 진단
(1) 주요 임상 증상
- 부종 (Edema): 눈 주변, 하지 부종이 흔함
- 거품뇨 (Foamy Urine): 단백뇨로 인해 발생
- 고혈압 (Hypertension) 또는 저혈압
- 감염 위험 증가 (IgG 감소)
- 혈전 색전증 (특히 신정맥 혈전증)
(2) 진단 검사
- 소변 검사:
- 단백뇨 (≥ 3.5g/day)
- 소변 단백-크레아티닌 비율 증가
- 혈액 검사:
- 저알부민혈증 (<3.0g/dL)
- 고지질혈증 (LDL, 총 콜레스테롤 증가)
- 신장 생검:
- 원인을 감별하기 위한 필수적 검사
- 특히 비당뇨병성 단백뇨, 혈뇨 동반 시 고려
5. 신증후군의 치료
(1) 일반적인 치료 원칙
- 부종 조절: 저염식 + 이뇨제(Furosemide, Thiazide 등) 사용
- 단백뇨 감소: ACEI/ARB 사용
- 고지질혈증 관리: 스타틴(Atorvastatin, Rosuvastatin) 사용
- 혈전 예방: 필요 시 항응고제(와파린, 헤파린) 사용
- 감염 예방: 폐렴구균 백신, 면역억제제 사용 시 예방적 항생제 고려
(2) 원인별 치료
- 미세변화 신증후군(MCD)
- 스테로이드(Prednisone) 1mg/kg/day, 4~6주 투여
- 재발 시 사이클로스포린(Cyclosporine) 또는 MMF 고려
- 국소 분절성 사구체 경화증(FSGS)
- 스테로이드 + 사이클로스포린 치료
- 신이식 후 재발 시 혈장교환술(plasmapheresis) 고려
- 막성 신증(Membranous Nephropathy)
- 면역억제 치료 고려 (리툭시맙, 스테로이드 + 사이클로포스파마이드)
- 당뇨병성 신증(Diabetic Nephropathy)
- 혈당 조절 + ACEI/ARB 필수
- SGLT2 억제제 (Empagliflozin 등) 신기능 보호 효과
- 루푸스 신염(Lupus Nephritis)
- 고용량 스테로이드 + 면역억제제 (Cyclophosphamide, MMF 등)
6. 예후 및 합병증
(1) 신부전 진행 위험
- 단백뇨 >10g/day → 신부전(ESRD) 진행 위험 증가
- FSGS, 막성신증, MPGN 환자는 예후 불량
(2) 주요 합병증
- 감염 위험 증가 (폐렴, 패혈증)
- 혈전 색전증 (Renal vein thrombosis, Pulmonary embolism)
- 만성 신부전 진행
- 고지질혈증으로 인한 심혈관 질환 위험 증가
📌 결론 및 요약
- 신증후군의 특징: 단백뇨(≥3.5g/day), 저알부민혈증, 부종, 고지질혈증
- 원인: 미세변화병(MCD), FSGS, 막성 신증, 당뇨병성 신증 등
- 치료:
- 스테로이드 및 면역억제제 사용 (원인에 따라 차이)
- ACEI/ARB 사용하여 단백뇨 감소
- 이뇨제, 스타틴, 항응고제 사용 고려
- 합병증 관리 필수: 감염 예방, 혈전 예방, 신기능 보존이 중요
신증후군은 조기 진단과 적극적인 치료가 필수적인 질환으로, 맞춤형 치료 접근이 필요합니다.
출처 ㅣ 논문
반응형
'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부전 환자를 위한 초여과(Ultrafiltration) 치료 (0) | 2025.02.27 |
---|---|
PD (1) | 2025.02.27 |
사구체신염의 치료 (0) | 2025.02.27 |
신부전 환자의 약물 치료 (0) | 2025.02.27 |
투석 적절성 (Adequacy of Dialysis) (0) | 2025.02.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