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

사구체신염의 치료

by 글래스팤 2025. 2. 27.
반응형

사구체신염의 치료 

 


1. 사구체신염(Glomerulonephritis)의 개요

  • 정의:
    • 사구체에 염증이 발생하여 혈뇨, 단백뇨 및 신기능 저하를 유발하는 질환
    • 원인: 면역 이상, 감염, 유전적 요인 등
  • 병리학적 특징:
    • 면역복합체 형성 및 침착 → 사구체 손상 유발
    • 염증 반응 활성화 → 세포 증식 및 섬유화 진행
    • 결과적으로 신장 기능 저하 및 만성 신부전 진행 가능

2. 사구체신염의 치료 원칙

(1) 치료 목표

  • 신장 기능 보존 및 진행 속도 늦추기
  • 단백뇨 및 혈뇨 감소
  • 신증후군(Nephrotic syndrome) 조절
  • 고혈압 및 합병증 관리

(2) 치료 전략

  1. 면역억제 치료 (Immunosuppressive therapy)
    • 신장 조직 내 염증 및 면역 반응을 조절하여 손상 방지
    • 고용량 스테로이드, 칼시뉴린 억제제, 세포독성 약물, 리툭시맙(Rituximab) 등 사용
    • 단, 감염 위험 증가, 당뇨병 발생, 골다공증 등 부작용 고려
  2. 혈압 조절 및 단백뇨 감소
    • ACE 억제제/ARB 사용 → 단백뇨 감소 및 사구체 내 고혈압 완화
    • 목표 혈압: 125/75 mmHg 미만 유지
  3. 부종 조절 및 체액 균형 유지
    • 이뇨제(Furosemide, Thiazide, Spironolactone) 사용
    • 저염식(하루 2g 이하의 나트륨 섭취) 병행
  4. 이상지질혈증 치료
    • 스타틴(Atorvastatin, Rosuvastatin) 사용
    • 목표 LDL-C: 70~100 mg/dL 미만
  5. 항응고제 및 항혈소판제 사용
    • 신증후군 환자에서 혈전 위험 증가 → 저용량 아스피린 또는 와파린 고려

3. 질환별 치료 방법

(1) 미세변화 신증후군 (Minimal Change Disease, MCD)

  • 면역억제 치료 효과가 우수하며, 재발 가능성이 높은 질환
  • 치료 방법:
    • 고용량 스테로이드 (Prednisone 60-80 mg/day) 4-6주 투여 후 감량
    • 성인의 경우 치료 기간이 길어질 수 있음 (10-16주까지)
    • 재발 시 사이클로스포린(Cyclosporine) 또는 미코페놀레이트(MMF) 추가

(2) 국소 분절성 사구체경화증 (FSGS, Focal Segmental Glomerulosclerosis)

  • 자연 관해가 드물고 면역억제 치료 반응이 제한적
  • 치료 방법:
    • 고용량 스테로이드 4-6개월 투여
    • 스테로이드 저항성 환자 → 사이클로스포린(Cyclosporine) 사용
    • 단, 장기간 사용 시 신독성 위험 고려

(3) 막성 신증 (Membranous Nephropathy)

  • 자가면역 반응이 주요 원인 (PLA2R 항체 관련)
  • 치료 방법:
    • ACE 억제제/ARB 6개월 사용 후 경과 관찰
    • 단백뇨 4g/day 이상 & 신기능 저하 진행 시 면역억제 치료
    • 리툭시맙(Rituximab) 사용 가능

(4) IgA 신병증 (IgA Nephropathy)

  • 단백뇨 및 신기능 감소 속도를 조절하는 것이 핵심
  • 치료 방법:
    • ACE 억제제/ARB 사용 → 목표 단백뇨 1g/day 미만
    • 신기능 저하 환자 → 스테로이드 6개월 사용 고려
    • 진행성 질환에서는 Cyclophosphamide + 스테로이드 병합 요법 시행 가능

(5) 막증식성 사구체신염 (MPGN, Membranoproliferative Glomerulonephritis)

  • 치료가 어렵고,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
  • 치료 방법:
    • 스테로이드 + Cyclophosphamide 사용 고려
    • Mycophenolate mofetil (MMF) 사용 가능
    • 혈전 위험이 높아 항응고제 사용 고려

(6) 급성 사구체신염 (Acute Glomerulonephritis)

  • 감염 후 사구체 손상이 발생하는 경우
  • 치료 방법:
    • 감염 치료 (항생제 사용) + 보존적 치료 (이뇨제, 혈압 조절)
    • 신기능 저하가 심할 경우 일시적 투석 요법 시행 가능

(7) 급속 진행형 사구체신염 (Rapidly Progressive Glomerulonephritis, RPGN)

  • 조기 치료가 필수적인 질환
  • 치료 방법:
    • 고용량 스테로이드 펄스 요법 (Methylprednisolone 1g/day, 3-5일)
    • Cyclophosphamide 병합 요법
    • 항기저막 항체 질환에서는 혈장교환술 (Plasmapheresis) 추가 고려

4. 최신 치료 연구 및 전망

  • 자가항체 치료: PLA2R 항체 표적 치료 연구 진행 중
  • 신장 섬유화 예방: 새로운 항섬유화 약물 개발 진행
  • 신장 생존율 개선: 맞춤형 면역억제제 조합 연구 중

📌 결론 및 요약

  • 사구체신염은 면역 반응 이상이 주요 원인
  • 질환별 맞춤 치료 전략 필요
    • 스테로이드 + 면역억제제 조합 사용 (질환에 따라 선택)
    • 혈압 조절 및 단백뇨 감소 (ACE 억제제/ARB 사용 필수)
    • 지질 관리 및 항응고 치료 고려
  • 조기 진단 및 적극적 치료가 신기능 보존에 필수적
  • 환자의 상태에 따라 치료법을 조정해야 하며, 부작용 관리가 중요

사구체신염 치료는 최신 연구에 따라 점차 발전하고 있으며, 향후 맞춤형 치료법이 더욱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출처 ㅣ 논문

반응형

'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PD  (1) 2025.02.27
신증후군(Nephrotic Syndrome)  (0) 2025.02.27
신부전 환자의 약물 치료  (0) 2025.02.27
투석 적절성 (Adequacy of Dialysis)  (0) 2025.02.27
만성 신부전 환자의 경구 인산 결합제 (Oral Phosphate Binders)  (0) 2025.02.27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