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신부전 환자의 약물 치료
1. 만성 신질환(CKD)의 개요
- 정의:
- 사구체 여과율(GFR)이 60 mL/min/1.73m² 이하로 감소하거나,
- 3개월 이상 지속되는 신손상(단백뇨, 혈뇨, 영상학적 이상 포함)
- 주요 원인:
- 당뇨병성 신증 (Diabetic nephropathy) → 가장 흔한 원인
- 고혈압성 신경화증 (Hypertensive nephrosclerosis)
- 만성 사구체신염 (Chronic glomerulonephritis)
- 다낭신, 루푸스 신염 등
- 목표:
- 신기능 저하 속도를 늦추고 말기 신부전(ESRD) 진행을 예방
- 합병증(빈혈,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등) 관리
2. CKD 치료의 기본 원칙
- 1차 예방: 신질환 발생을 예방 (ex. 혈압, 당뇨 관리)
- 2차 예방: 신기능 저하 속도를 늦추어 신대체요법(투석, 이식) 필요 시점 지연
- 약물 사용 시 주의점:
- 신기능에 따라 용량 조절 필수 (GFR 기반 용량 조절)
- 신독성 약물(예: NSAIDs, 조영제) 사용 최소화
- 전해질 이상(고칼륨혈증 등) 발생 가능성 고려
3. CKD 환자에서 흔히 사용하는 약물 치료
(1) 고혈압 치료
- 목표 혈압:
- CKD 환자: 130/80 mmHg 미만 유지
- 1차 선택약제:
- ACE 억제제(ACEI), 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ARB)
- 신기능 보호 및 단백뇨 감소 효과
- 단, 고칼륨혈증 및 급성 신손상 위험 주의
- 2차 선택약제:
- 칼슘채널차단제(CCB) → 혈압 조절에 효과적
- 이뇨제 (Loop diuretics, Thiazide diuretics) → 체액 과부하 조절
(2) 빈혈 치료
- 원인: 신장에서 생성되는 EPO(erythropoietin) 감소 및 철분 부족
- 치료 기준:
- Hb < 10 g/dL → ESA(erythropoiesis-stimulating agent) 치료 고려
- Hb 목표: 11~12 g/dL
- 치료 방법:
- EPO 제제(Epokine, Aranesp, Mircera 등) 사용
- 철분 보충제 (경구 or 정맥 주사) 함께 투여
- 주의사항:
- 고혈압, 혈전증 위험 증가 가능성
- 철분 결핍, 염증 여부 확인 후 치료 진행
(3) CKD 관련 무기질 및 골질환 (MBD) 치료
- 병태생리:
- 고인산혈증(Hyperphosphatemia) → 신장에서 인 배설 저하
- 이차성 부갑상선기능항진증(Secondary hyperparathyroidism) → PTH 증가
- 골질환 발생 위험 증가
- 치료 방법:
- 식이 인 섭취 제한 (600~800mg/day)
- 경구 인 결합제 (Phosphate Binders) 사용
- 칼슘 기반 약물 (Calcium carbonate, Calcium acetate) → 저렴하지만 고칼슘혈증 위험
- 비칼슘 기반 약물 (Sevelamer, Lanthanum, Ferric citrate) → 혈관 석회화 위험 감소
- 비타민 D 보충제 (Calcitriol, Paricalcitol 등) → PTH 조절
- Cinacalcet (Calcimimetic 약물) →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 조절
(4) 이상지질혈증 치료
- CKD 환자는 죽상경화 위험이 높음 → 적극적인 관리 필요
- LDL-C 목표:
- CKD 1
4기: **70100 mg/dL 미만 유지**
- CKD 1
- 치료 약물:
- 스타틴 (Atorvastatin, Rosuvastatin 등) + Ezetimibe 병용 고려
- CKD 5기(투석 중)에서는 스타틴 효과가 명확하지 않음
(5) 고칼륨혈증 및 대사성 산증 치료
- 고칼륨혈증(K+ > 5.5 mmol/L)
- 칼륨 제한 식이 (과일, 감자, 토마토 등 제한)
- 칼륨 배설 촉진 약물 (Kayexalate 등 양이온 교환수지 사용)
- 대사성 산증 치료 (혈청 HCO₃⁻ < 22 mEq/L)
- 경구 중탄산나트륨(Sodium bicarbonate) 보충
- 산증 조절이 신기능 저하 속도를 늦출 수 있음
(6) 심혈관 질환 예방 및 치료
- CKD 환자는 심혈관 질환 위험이 10~30배 증가
- 예방 및 치료 전략:
- LDL-C 70mg/dL 미만 유지
- 항혈소판제 (Aspirin 등) 사용 고려
- 혈압 조절, 빈혈 관리 필수
4. CKD 환자에서 약물 사용 시 주의할 점
- 신기능(GFR)에 따라 용량 조절 필수
- 신배설 약물(예: Digoxin, 항생제 등) 투여량 감소 필요
- 신독성 약물 피하기
- NSAIDs, 조영제, 일부 항생제(Aminoglycosides) 주의
- 전해질 불균형 주의
- ACEI, ARB, 이뇨제 사용 시 고칼륨혈증 모니터링 필요
📌 결론 및 요약
- CKD 환자의 치료 목표:
- 신기능 저하 속도 늦추기
- 합병증(빈혈,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무기질-골질환) 관리
- 주요 약물 치료 전략:
- 고혈압: ACEI/ARB + CCB/이뇨제 병용
- 빈혈: ESA(EPO 제제) + 철분 보충
- 무기질 및 골질환: 인 결합제 + 비타민 D 보충
- 이상지질혈증: 스타틴 사용
- 고칼륨혈증: 식이 제한 + 칼륨 배설 촉진제
- 약물 사용 시 신기능 고려하여 용량 조절 필수
- 심혈관 질환 예방을 위한 적극적인 관리 필요
CKD 환자는 조기 진단과 적극적인 치료를 통해 말기 신부전으로의 진행을 최대한 늦출 수 있으며, 개별 맞춤 치료가 중요합니다.
출처 ㅣ 대한내과 확회
반응형
'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증후군(Nephrotic Syndrome) (0) | 2025.02.27 |
---|---|
사구체신염의 치료 (0) | 2025.02.27 |
투석 적절성 (Adequacy of Dialysis) (0) | 2025.02.27 |
만성 신부전 환자의 경구 인산 결합제 (Oral Phosphate Binders) (0) | 2025.02.27 |
IgA 신병증 (IgA Nephropathy) (1) | 2025.02.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