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복막투석의 개요 및 최신 동향
- 복막투석(PD): 신대체요법의 한 형태로, 환자가 가정에서 직접 시행 가능
- 미국 내 PD 증가:
- 2009년 PD 환자 비율 6.9% → 2014년 9.7%로 증가
- 비용 절감, 의료 정책 변화, 환자 교육 강화로 인해 증가
- PD vs 혈액투석(HD) 비교:
- 비용: PD가 상대적으로 저렴 ($71,630 vs $87,945, 2011년 기준)
- 생존율: 초기 18개월은 PD가 유리, 36개월 이후 HD가 우세
2. 복막투석의 효과 및 생존율
- 최근 연구 결과:
- PD 환자의 생존율이 점차 향상됨
- 1993년 PD 사망률(47%) vs HD(28%) → 2012년 PD(1.55), HD(1.60)로 유사해짐
- 심부전 환자에서 PD의 심장 보호 효과 가능성 (스피로놀락톤 연구)
- 장점:
- 혈관 접근 필요 없음 (HD 대비 감염 위험 감소)
- 심혈관계 부담 감소 가능
- 자가 관리 가능 → 삶의 질 향상
- 단점:
- 감염 위험 (복막염, 출구 감염)
- 복막 기능 저하 가능성
3. 복막투석 카테터 삽입 및 관리
- PD 카테터의 설계 및 삽입 방법
- 실리콘 고무 재질, 다양한 디자인 존재 (일반형, 연장형 등)
- 삽입 방법:
- 경피적(percutaneous)
- 복강경(laparoscopic)
- 외과적 절개(open surgical dissection)
- 복강경 삽입 시 장점:
- 장기 생존율 우수, 복막 유착 예방 가능
- 적절한 출구 위치 선정 필수
- 벨트라인보다 2cm 이상 떨어진 위치 추천
- 상복부 출구가 감염 위험 감소 가능성
- 긴급 PD 시작 가능(Urgent-Start PD)
- 긴급 투석이 필요한 환자에서도 PD 시작 가능
- CVC 없이 바로 PD 가능하여 감염 위험 감소
4. 복막투석 용액의 종류 및 선택
용액 유형삼투압제pH특징
일반 PD 용액 | 포도당(Glucose) | 5.5 | 고삼투압, 장기 사용 시 복막 손상 가능 |
저포도당 용액 | Icodextrin | 7.0 | 고혈당 및 체중 증가 예방 가능 |
아미노산 기반 용액 | Amino acids | 6.5 | 영양 공급 목적, 대사성 산증 가능 |
중성 pH/저-GDP 용액 | Glucose | 7.4 | 복막 보호 효과 가능 |
- Icodextrin 사용 효과:
- 포도당 사용 감소 → 혈당 조절 도움
- 체액 과부하 방지 효과
- 중성 pH/저-GDP 용액:
- 복막 섬유화 예방 가능성
- 장기적으로 복막 기능 유지 가능
5. 복막투석의 적절성 평가
- Kt/V 기준: 1.7 이상 유지 필요
- ADEMEX 연구 결과:
- Kt/V 1.7 vs 2.0 → 생존율 차이 없음
- 단, 낮은 Kt/V 그룹에서 빈혈 및 요독증 증가
- 복막평형검사(PET, Peritoneal Equilibrium Test)
- 환자의 복막 투과도(Transporter Type) 평가
- 고투과성 환자: 포도당 흡수 빠름 → 짧은 체류 시간 필요
- 저투과성 환자: 포도당 흡수 느림 → 장시간 체류 가능
6. 복막투석의 주요 합병증 및 치료
(1) 감염성 합병증
- 복막염(Peritonitis)
- 주 증상: 복부 통증, 혼탁한 복막액, 발열
- 진단: 복막액 WBC ≥ 100/mL, 중성구 ≥ 50%
- 치료:
- 초기 경험적 항생제 치료 (그람양성 + 그람음성 모두 포함)
- 첫 96시간 이내에 그람음성균 배제 가능하면 항생제 조정 가능
- 진균 감염 시 카테터 제거 고려
- 출구 및 터널 감염
- 출구 부위 화농성 분비물 → 감염 가능성 높음
- 경구 항생제(1세대 세팔로스포린 등) 사용
(2) 비감염성 합병증
- 복막 초여과 장애(Ultrafiltration Failure)
- 고투과성 환자에서 체액 제거 부족 발생 가능
- Icodextrin 사용이 도움이 될 수 있음
- 복막 섬유화(Encapsulating Peritoneal Sclerosis, EPS)
- 장기간 PD 시행 시 복막이 두꺼워지고 섬유화 진행
- 복부 통증, 장 폐색 증상 발생 가능
- PD 중단 및 면역억제 치료(스테로이드, 타목시펜 등) 고려
7. 복막투석의 미래 방향
- 긴급 PD(Urgent-Start PD): 초기 HD 대신 긴급 PD 시행 증가
- PD를 통한 급성 신손상(AKI) 치료 연구 진행 중
- 새로운 복막 보호 용액 개발 (저-GDP, 중성 pH 용액)
- 투석 기술 발전 및 환자 맞춤형 치료 연구 진행
📌 결론 및 요약
- 복막투석(PD)은 신대체요법 중 중요한 선택지이며, 최근 사용 증가
- 비용 절감 및 환자의 삶의 질 향상 측면에서 장점이 있음
- 감염 및 복막 변화 등의 합병증 관리가 필수적
- 새로운 PD 용액과 치료법이 개발 중이며, 미래 전망이 긍정적
PD는 기술적 발전과 맞춤형 치료 전략이 강화되면서, 향후 더욱 중요한 신대체요법으로 자리 잡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출처 ㅣ 논문
반응형
'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구체신염(Glomerulonephritis)의 종류와 치료, 치료 시 주의사항 (0) | 2025.03.06 |
---|---|
심부전 환자를 위한 초여과(Ultrafiltration) 치료 (0) | 2025.02.27 |
신증후군(Nephrotic Syndrome) (0) | 2025.02.27 |
사구체신염의 치료 (0) | 2025.02.27 |
신부전 환자의 약물 치료 (0) | 2025.02.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