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

사구체신염(Glomerulonephritis)의 종류와 치료, 치료 시 주의사항

by 글래스팤 2025. 3. 6.
반응형

1. 사구체신염이란?

사구체신염은 신장의 사구체(혈액을 여과하는 작은 혈관 덩어리)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단백뇨, 혈뇨, 부종, 고혈압 등이 나타날 수 있음. 급성(단기간)과 만성(장기간 지속)으로 나뉘며, 원인과 경과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음.


사구체신염의 종류

1) 급성 사구체신염

  • 급성 연쇄상구균 감염 후 사구체신염(PSGN)
    • 원인: A군 β-용혈성 연쇄상구균 감염(편도염, 인두염 등) 후 발생
    • 증상: 혈뇨(콜라색 소변), 단백뇨, 부종, 고혈압
    • 치료:
      • 감염 치료(항생제, 페니실린)
      • 나트륨 및 수분 제한
      • 고혈압 관리(이뇨제, 항고혈압제)
      • 대증 치료(증상 완화 치료)

2) 만성 사구체신염 (점진적 진행)

  • IgA 신병증 (버거병)
    • 원인: 면역글로불린 A(IgA) 침착으로 인해 사구체 손상
    • 증상: 반복적인 혈뇨, 단백뇨
    • 치료:
      • 단백뇨 조절(ACE 억제제, ARB 계열 고혈압 약물)
      • 면역억제제(스테로이드 등) 사용 가능
      • 식이요법(저염식, 저단백식)
  • 막성 신증 (Membranous Nephropathy)
    • 원인: 신장의 사구체 기저막 비후
    • 증상: 심한 단백뇨, 부종
    • 치료:
      • 면역억제제(스테로이드, 사이클로스포린 등)
      • 혈압 조절(ACE 억제제, ARB)
      • 저염식, 저단백식
  • 미세변화 신증 (Minimal Change Disease, MCD)
    • 원인: 전자현미경으로만 보이는 미세한 변화, 주로 소아에서 발생
    • 증상: 심한 단백뇨, 부종
    • 치료:
      • 고용량 스테로이드(프레드니솔론)
      • 재발 시 면역억제제 추가
  • 초점성 분절성 사구체경화증 (FSGS, Focal Segmental Glomerulosclerosis)
    • 원인: 사구체 일부가 경화됨
    • 증상: 단백뇨, 신기능 저하
    • 치료:
      • 스테로이드 및 면역억제제
      • 신장 보호제(ACEi, ARB)
      • 생활습관 조절(식이요법, 체중 조절)

사구체신염 치료 방법

1) 기본적인 치료 원칙

  • 원인 질환 치료
    • 감염이 원인이라면 항생제 사용
    • 면역질환이 원인이라면 면역억제제 사용
  • 혈압 조절
    • ACE 억제제(Enalapril, Ramipril), ARB 계열(Losartan, Valsartan) → 단백뇨 감소 및 신장 보호 효과
  • 식이요법
    • 저염식: 부종 및 고혈압 조절
    • 저단백식: 신장 부담 감소
    • 수분 조절: 부종이 심할 경우 제한
  • 면역억제제 사용 (필요 시)
    • 스테로이드(프레드니솔론)
    • 사이클로포스파마이드(Cyclophosphamide)
    • 칼시뉴린 억제제(타크로리무스, 사이클로스포린)
  • 부종 관리
    • 이뇨제 사용(Furosemide, Spironolactone 등)
  • 신장 보호를 위한 생활 습관 개선
    • 체중 조절, 금연, 운동(과도한 운동은 금지)

사구체신염 치료 시 주의사항

  1. 과도한 단백질 섭취 금지
    • 단백질 과다 섭취는 신장 부담을 증가시키므로 조절이 필요함.
    • 단백질 제한이 필요할 경우, 신장전문의와 상담 후 진행.
  2. 나트륨(소금) 섭취 제한
    • 부종 및 혈압 상승을 막기 위해 저염식을 해야 함.
  3. 체액 과부하 조절
    • 수분 섭취량을 조절하고, 필요 시 이뇨제를 사용.
  4. 면역억제제 사용 시 감염 주의
    • 스테로이드, 사이클로스포린 등을 사용하는 경우 면역 저하로 감염 위험 증가 → 손 씻기, 백신 접종 필요.
  5. 혈압 조절 필수
    • 신장 보호를 위해 ACE 억제제, ARB 사용이 중요함.
  6. 정기적인 신장 기능 모니터링
    • 혈액 검사(크레아티닌, BUN), 소변 검사(단백뇨, 혈뇨) 정기적으로 확인.
  7. 약물 복용 시 신장 독성 약물 피하기
    • NSAIDs(소염진통제), 일부 항생제(아미노글리코사이드) 등은 신독성이 있어 주의해야 함.

결론

사구체신염은 원인과 경과에 따라 치료법이 다름. 치료의 핵심은 원인 치료 + 혈압 조절 + 단백뇨 감소 + 신장 보호이며, 생활습관 개선이 중요함.
증상에 따라 스테로이드, 면역억제제, 이뇨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정기적인 신장 기능 검사가 필수임.

반응형

'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빈혈(Anemia)  (0) 2025.03.06
스테로이드 치료 시 주의해야 할 점  (1) 2025.03.06
심부전 환자를 위한 초여과(Ultrafiltration) 치료  (0) 2025.02.27
PD  (1) 2025.02.27
신증후군(Nephrotic Syndrome)  (0) 2025.02.27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