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

신증후군(Nephrotic Syndrome)

by 글래스팤 2025. 3. 19.
반응형

📌 신증후군(Nephrotic Syndrome) 

신증후군(Nephrotic Syndrome)은 단백뇨(>3.5g/day), 저알부민혈증(<3.0g/dL), 부종, 고지질혈증이 특징이며, 원인 감별을 위해 다양한 검사가 필요합니다.


1️⃣ 신증후군 진단을 위한 필수 검사

(1) 기본 검사

검사 항목목적진단 기준
소변 검사 (Urinalysis) 단백뇨, 지질뇨 확인 단백뇨 3+ 이상
24시간 소변 단백량 단백뇨 정량 측정 >3.5g/day → 신증후군
혈액 검사 (Serum Albumin) 저알부민혈증 확인 <3.0g/dL
혈중 지질 검사 (Lipid Panel) 고지질혈증 확인 LDL 상승, 총 콜레스테롤 증가
신장 기능 검사 (BUN, Cr, eGFR) 신기능 평가 CKD 감별 목적

📌 소변 단백 3.5g/day 이상, 저알부민혈증, 고지질혈증이 동반되면 신증후군 가능성 높음!


(2) 신증후군 감별을 위한 추가 검사

신증후군의 원인을 감별하기 위해 다음 검사가 필요합니다.

검사 항목목적해석
신장 초음파 (Kidney USG) 신장 크기, 구조적 이상 확인 만성 신질환 감별
항핵항체 (ANA) 루푸스 신염 감별 SLE 양성 시 가능성 ↑
Anti-dsDNA, Anti-Sm Ab SLE 감별 루푸스 신염 확인
Anti-PLA2R Ab 1차성 막성 신병증(Membranous Nephropathy) 확인 양성이면 막성 신병증 가능성 ↑
C3, C4 보체 검사 면역복합체 신염 감별 (MPGN, SLE 신염) 감소 시 면역 복합체 질환 가능
ANCA 검사 혈관염 관련 신질환 감별 ANCA 신염 가능성 확인
HBsAg, Anti-HCV Ab B형/C형 간염 관련 신질환 감별 감염 관련 신증후군 확인
HIV 검사 HIV 신증후군 감별 HIV 관련 신병증 가능성 확인

📌 특정 항체 검사(ANA, Anti-PLA2R 등)로 신증후군의 원인 감별 가능!


2️⃣ 신증후군 감별을 위한 신장 조직검사 (Renal Biopsy)

필요한 경우

  • 성인 신증후군 (원인 감별이 필요함) → 대부분 신장 조직검사 시행
  • 소아 환자에서 스테로이드 저항성 신증후군
  • 급격한 신기능 악화 동반 시 (RPGN 가능성 감별 필요)

조직검사 결과별 신증후군 원인

신장 조직 소견의미
미세변화 신증후군 (MCD, Minimal Change Disease) 전자현미경에서 족세포 소실(Foot process effacement)
국소분절성 사구체 경화증 (FSGS, Focal Segmental Glomerulosclerosis) 사구체 일부 경화, 콜라겐 침착
막성 신병증 (Membranous Nephropathy) 기저막 비후, 면역복합체 침착
막증식성 사구체 신염 (MPGN, Membranoproliferative Glomerulonephritis) 이중 기저막 (Tram-track appearance)
루푸스 신염 (Lupus Nephritis) 면역복합체 침착, 보체 저하 (C3, C4 감소)

📌 소아는 미세변화 신증후군(MCD)이 가장 흔하여, 조직검사 없이 스테로이드 치료 먼저 시행 가능
📌 FSGS, 막성 신병증, MPGN 감별 위해 조직검사 필요


3️⃣ 신증후군에서 소변 검사 특징

소변 검사(Urinalysis)에서 신증후군을 의심할 수 있는 소견

소변 소견의미
단백뇨 (Proteinuria) 3+ 이상 → 신증후군 가능성
Oval fat bodies (지질뇨) 고지질혈증이 심한 경우 Maltese cross pattern 보임
현미경적 혈뇨 (+/-) 혈뇨가 있으면 사구체 신염 가능성 고려 (MPGN, SLE 신염)

📌 지질뇨(oval fat bodies)가 보이면 신증후군 가능성 높음!


4️⃣ 신증후군 검사 결과 해석 요약

검사 항목정상신증후군 시 특징적 변화
소변 단백 (Proteinuria) <150mg/day >3.5g/day
혈중 알부민 (Serum Albumin) 3.5~5.0 g/dL <3.0 g/dL (저알부민혈증)
콜레스테롤 (Total Cholesterol) <200 mg/dL >200~300 mg/dL (고지질혈증)
신장 기능 (BUN/Cr, eGFR) 정상 범위 CKD 진행 시 감소 가능
보체 (C3, C4) 정상 낮으면 MPGN, 루푸스 가능성
항체 검사 (ANA, Anti-PLA2R 등) 음성 특정 원인 감별
Oval fat bodies (소변 현미경 검사) 없음 Maltese cross 보이면 신증후군 가능성↑

5️⃣ 신증후군 진단 과정

1️⃣ 소변 검사 (단백뇨 확인) → 24시간 소변 단백량 측정
2️⃣ 혈액 검사 (저알부민혈증, 고지질혈증 확인)
3️⃣ 신장 초음파로 구조적 이상 확인
4️⃣ 특정 질환 감별 (ANA, Anti-PLA2R, HBV/HCV 등 검사 진행)
5️⃣ 필요 시 신장 조직검사 시행 → 병리학적 진단

📌 소변 단백 3.5g/day 이상 + 저알부민혈증 + 고지질혈증 동반되면 신증후군 가능성 높음!
📌 성인에서는 신장 조직검사로 원인 감별이 중요!


✅ 핵심 요약

신증후군 검사 = 소변 단백(>3.5g/day), 저알부민혈증(<3.0g/dL), 고지질혈증
Oval fat bodies(지질뇨) 보이면 신증후군 가능성↑
Anti-PLA2R(+)막성 신병증(MN) 가능성 높음
C3/C4 감소MPGN, 루푸스 신염 가능성
신장 조직검사 필요 시 시행 (FSGS, MPGN 감별 위해 필수적!)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