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CIN(Contrast-Induced Nephropathy) 예방 프로토콜 요약
1️⃣ CIN의 기전 및 위험요인
- CIN은 조영제 사용 후 급성 신손상(AKI) 발생을 의미하며, **급성 세뇨관 괴사(ATN)**가 주된 병리적 기전으로 추정됨.
- **Hypovolemia, 신혈류 감소, 신장 허혈(renal ischemia)**가 주요 원인.
✅ CIN 고위험군 & 발생률
- CKD (만성 신부전): Cr 2~3 → 22%, Cr > 3 → 31%
- DM + CKD: CKD 단독보다 CIN 발생 위험 증가 (8.8% vs. 4.0%)
- 중증 심부전, 혈역학적 불안정성
- 조영제 용량이 많을수록 위험 증가 (≥5mL/kg 이상 고위험)
- 고삼투압성 1세대 조영제(예: Diatrizoate) 사용 시 위험 증가
2️⃣ CIN의 임상 경과 및 진단
✅ 발생 시기 & 경과
- 조영제 투여 후 24~48시간 내 Cr 상승 & 소변량 감소
- 보통 3~7일 내 회복, 심한 경우 투석 필요 (1% 미만)
✅ 진단 방법
- Cr 상승 (25% 이상 or 0.5 mg/dL 이상 증가)
- AKI의 다른 원인(탈수, 신독성 약물 등) 배제
- CBC, Urinalysis, 신장 초음파(Kidney Sono) 검사 고려
3️⃣ CIN 예방 프로토콜
✅ 대상 환자
- Cr > 1.3 mg/dL or eGFR < 60 mL/min
- 잔여 신기능 보존이 필요한 투석 환자 (요량 ≥500 mL/day)
✅ 검사 전 고려사항
- 조영제 없는 대체 검사 가능 여부 평가 (Noncontrast CT, MRI 등)
- Nonionic, 저삼투압 조영제(Iodixanol, Ioversol, Iopamidol) 사용 추천
- 조영제 용량 최소화 (특히 PCI/CAG 시 신중한 용량 조절 필요)
✅ 수액 요법 (Hydration)
- IV Normal Saline(NS) 0.9% 투여 (0.45% Saline보다 효과적)
- 투여 일정:
- Prehydration: 조영제 투여 3시간 전 500mL 투여
- Posthydration: 조영제 투여 후 6시간 동안 500mL 추가 투여
- 환자 상태에 따라 속도 & 총량 조절 가능
- Bicarbonate 추가 사용은 권장되지 않음 (명확한 이득 없음)
✅ N-Acetylcysteine (NAC) 보조요법
- 항산화 효과 기대 가능
- 600mg BID (2회/일) × 3회 투여
- 2012 KDIGO AKI 가이드라인에서 예방적 사용 권고
✅ Metformin 복용 환자 (DM-CKD)
- CIN 발생 시 Metformin 배설 저하 → Lactic Acidosis 위험
- Contrast CT 전후 48시간 동안 Metformin 중단 권고
✅ 조영제 투여 후 혈액투석(HD) or 혈액여과(HF)는 일반적으로 권장되지 않음
- 조영제 배설을 줄일 수 있지만, CIN 발생률 감소에는 효과 없음
- 불필요한 투석으로 인한 합병증 위험 증가
4️⃣ CIN 예방 후 모니터링 & 경과
✅ CIN 예방 후
- 조영제 투여 후 3일째 Renal Panel f/u
- Cr 25% 이상 or 0.5 mg/dL 이상 상승 시 추가 f/u (1주 후 재검)
- AKI 기준에 따라 관리 진행, 필요 시 투석 고려
📌 투석 필요할 정도의 CIN 발생은 1% 미만으로 매우 드문 편
✅ 핵심 요약
🔹 고위험군 (CKD, DM-CKD, 심부전) 환자는 CIN 위험 증가
🔹 수액 요법(NS 0.9%)이 가장 중요한 예방 방법 (Pre 500mL + Post 500mL 투여)
🔹 N-Acetylcysteine (600mg BID x 3회) 보조적 사용 가능
🔹 DM-CKD 환자는 Contrast CT 전후 48시간 동안 Metformin 중단
🔹 조영제 투여 후 3일째 Cr 모니터링, 25% 이상 상승 시 추가 관리
반응형
'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증후군(Nephrotic Syndrome) (0) | 2025.03.19 |
---|---|
신기능(eGFR)에 따른 MR 조영제 사용 지침 (0) | 2025.03.19 |
Amiodarone(아미오다론) 금기 및 사용하지 않는 경우 (0) | 2025.03.19 |
ANP & BNP 활성화 (0) | 2025.03.19 |
RAAS (레닌-안지오텐신-알도스테론 시스템) & ADH (항이뇨호르몬) 활성화 (0) | 2025.03.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