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

Effective Circulating Volume (ECV, 유효 순환 혈량)

by 글래스팤 2025. 3. 19.
반응형

📌 Effective Circulating Volume (ECV, 유효 순환 혈량) 총정리!

**Effective Circulating Volume (ECV, 유효 순환 혈량)**은 조직 관류(Tissue perfusion)에 직접 기여하는 체액량을 의미하며, 혈압 조절, 신장 기능, 체액 균형 유지에 매우 중요합니다.


1️⃣ ECV 개념 및 역할

ECV = 실제로 순환하는 혈액량
전체 혈장량(Plasma Volume)과 같지 않음!
심장, 신장, 교감신경계, RAAS 시스템이 ECV 조절

📌 중요한 점:

  • ECV가 감소하면 → 신장이 체액을 보존 (Na+ & 수분 재흡수 증가)
  • ECV가 증가하면 → 신장이 체액을 배출 (Na+ & 수분 배출 증가)

2️⃣ ECV 감소 & 증가의 주요 원인

ECV 상태주요 원인ECV 반응
ECV 감소 (Low ECV, 효과적인 혈액량 감소) 출혈, 탈수, 심부전, 간경화, 신증후군 레닌-안지오텐신-알도스테론 시스템(RAAS) 활성화 → 나트륨 & 수분 보존
ECV 증가 (High ECV, 효과적인 혈액량 증가) 급성 신부전, 과도한 수액 투여, 심한 부종 신장에서 Na+ & 수분 배출 증가 (이뇨반응)

📌 중요한 개념:

  • 심부전, 간경화, 신증후군에서는 혈장량(Plasma Volume)은 증가하지만, ECV는 감소 → 신장은 이를 탈수로 인식하여 나트륨과 수분을 보존 → 부종 발생
  • 신장 기능이 정상이라면, ECV 증가 시 나트륨 & 수분 배설 증가하여 체액 균형 유지

3️⃣ ECV 감소 시 임상적 변화

ECV 감소 → 신장 및 신경계 보상 반응 발생!

(1) 신장 보상 기전

🔹 RAAS 시스템 활성화 → 레닌 분비 증가 → 안지오텐신 II 생성 → 알도스테론 분비 → 나트륨 & 수분 재흡수 증가
🔹 항이뇨호르몬(ADH, Vasopressin) 분비 증가 → 수분 재흡수 증가 → 소변 농축 (소변 Na+ 감소, 오스몰 증가)

📌 진단 지표:

  • 소변 Na⁺ < 20 mEq/L (신장이 Na+ 보존하려고 함)
  • BUN/Cr 비율 증가 (> 20:1, 신전성 신부전 특징)
  • 혈장 레닌 & 알도스테론 증가

(2) 임상적 특징 (ECV 감소 증상)

ECV 감소 원인주요 증상소변 지표
탈수 (Dehydration) 갈증, 어지럼증, 저혈압, 빈맥 농축된 소변 (고삼투압, Na⁺ 감소)
출혈 (Hemorrhage) 빈맥, 저혈압, 창백, 쇼크 가능성 Hb/Hct 감소
심부전 (Heart failure) 정맥 울혈, 부종, 저혈압 이뇨제 반응 감소
간경화 (Cirrhosis) 복수, 저알부민혈증, 말초 부종 신장 Na⁺ 재흡수 증가

📌 진단 팁:

  • ECV 감소 시 RAAS 활성화 → 소변 Na+ 감소 (<20 mEq/L), 소변 농축
  • 심한 경우 저혈압 & 쇼크 가능

4️⃣ ECV 증가 시 임상적 변화

ECV 증가 → 신장의 체액 배출 반응 증가!

(1) 신장 보상 기전

🔹 ANP (심방 나트륨 이뇨펩타이드) & BNP (뇌 나트륨 이뇨펩타이드) 증가 → 나트륨 배출 촉진
🔹 RAAS 억제 → 신장 Na+ & 수분 배설 증가

📌 진단 지표:

  • 소변 Na⁺ > 40 mEq/L (과도한 체액 배출)
  • BNP 증가 (심부전의 경우)
  • 혈장 레닌 & 알도스테론 감소

(2) 임상적 특징 (ECV 증가 증상)

ECV 증가 원인주요 증상소변 지표
신부전 (Acute/Chronic Kidney Failure) 고혈압, 부종, 호흡곤란 소변 Na⁺ 증가 (>40 mEq/L)
심부전 (Heart failure) 경정맥 울혈(JVD), 폐부종, 호흡곤란 BNP 증가, 소변 Na⁺ 증가
간경화 (Cirrhosis) 복수, 말초 부종, 황달 저알부민혈증, 소변 Na⁺ 감소 (보상 작용)

📌 진단 팁:

  • BNP 증가는 심부전(EF 감소)과 연관됨
  • 소변 Na+ > 40 mEq/L → 신장이 체액을 배출하려는 반응

5️⃣ ECV 감소 & 증가에 따른 치료 전략

상황치료 접근법
ECV 감소 (쇼크, 저혈압, 탈수) 수액 공급 (0.9% NS, LR), 필요 시 혈압 상승제
ECV 증가 (부종, 폐부종, 신부전) Loop 이뇨제 (Furosemide), Na 제한, 수분 제한

📌 탈수(ECV 감소) → 등장성 수액(0.9% NS) 사용!
📌 부종(ECV 증가) → Na 제한 + 이뇨제 사용!


6️⃣ 핵심 요약

🔹 ECV는 혈장량과 다름 → 조직 관류에 중요한 역할!
🔹 ECV 감소 시 → RAAS & ADH 활성화 → Na+ & 수분 보존 → 탈수 증상
🔹 ECV 증가 시 → ANP & BNP 활성화 → Na+ & 수분 배출 → 부종 발생
🔹 ECV 감소 시 수액 공급, ECV 증가 시 이뇨제 사용!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