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

RPR 검사 (Rapid Plasma Reagin)

by 글래스팤 2025. 3. 19.
반응형

📌 RPR 검사 (Rapid Plasma Reagin) 총정리!

RPR 검사매독(Treponema pallidum) 감염 여부를 확인하는 혈청학적 검사입니다.
RPR은 **비트레포네마 검사(non-treponemal test)**로, 매독 감염 여부 및 치료 경과 모니터링에 활용됩니다.


1️⃣ RPR 검사의 원리

매독 감염 시 몸에서 생성되는 비특이적 항체(심지질성 항체, reagin)를 검출하는 검사
매독균(Treponema pallidum) 자체를 탐지하는 검사가 아니라, 매독 감염에 대한 면역 반응을 확인


2️⃣ RPR 검사 결과 해석

검사 결과의미추가 검사 필요 여부
RPR (-) (음성) 매독 감염 가능성 낮음 증상 있으면 TPPA, FTA-ABS 검사 추가
RPR (+) & Low titer (1:1 ~ 1:4) 과거 감염 or 저역가 양성 (위양성 가능) TPPA, FTA-ABS 검사 추가
RPR (+) & High titer (≥ 1:8) 활동성 매독 감염 가능성 높음 TPPA, FTA-ABS 검사 추가

📌 역가(Titer) 값이 클수록 매독 감염 가능성이 높음!
📌 RPR 양성 시, TPPA(매독 항체 검사) 추가 시행하여 확진 필요!


3️⃣ RPR 검사와 TPPA (Treponemal test) 비교

검사 항목비트레포네마 검사 (Non-treponemal test)트레포네마 검사 (Treponemal test)
검사 종류 RPR, VDRL TPPA, FTA-ABS, EIA
검출 항목 심지질성 항체 (비특이적 항체) 매독균(Treponema pallidum) 항체
의미 감염 여부 및 치료 반응 모니터링 매독 감염력 확인 (한 번 감염되면 평생 양성)
위양성 가능성 있음 (자가면역질환, 임신, 간질환 등) 거의 없음
감염 후 변화 치료 후 감소 or 음성 가능 평생 양성 가능

📌 RPR 양성 → TPPA로 확진 필요!
📌 RPR 치료 후 음성 가능 vs TPPA는 평생 양성 가능


4️⃣ RPR 검사 위양성(False Positive) 원인

RPR은 매독 외에도 다양한 원인으로 위양성이 나올 수 있음

자가면역질환 (SLE, 류마티스관절염)
임신
급성 감염 (HIV, 말라리아, 결핵, 폐렴 등)
간질환, 암, 약물 반응

📌 RPR 양성 시, 반드시 TPPA 검사로 매독 감염 여부 확인 필요!


5️⃣ 치료 후 RPR 검사 활용법

RPR은 치료 경과를 확인하는 데 유용
✔ 치료 후 6개월~1년 내 역가가 4배(2 dilution) 이상 감소하면 성공적인 치료

💡 예시:

  • 치료 전: RPR 1:32
  • 치료 후: RPR 1:8 이하성공적 치료!

📌 RPR이 치료 후에도 감소하지 않으면 재감염 or 치료 실패 가능성 고려!


✅ 핵심 요약

🔹 RPR(+) → 매독 가능성 O → TPPA 검사 추가로 확진 필요
🔹 RPR(-) → 매독 가능성 낮음, 하지만 증상 있으면 TPPA 검사 고려
🔹 치료 후 RPR 감소 여부로 치료 효과 평가 가능
🔹 RPR 위양성 가능 (자가면역질환, 임신, 감염 등)

반응형

'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분 & 전해질 균형  (0) 2025.03.19
HCV (C형 간염) & HBV (B형 간염) 총정리!  (0) 2025.03.19
간염 항체 검사 총정리!  (0) 2025.03.19
Thyroid goiter  (0) 2025.03.19
Tall T wave(높은 T파) 쉽게 보는 법  (0) 2025.03.19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