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심전도(ECG, Electrocardiogram) 보는 방법
심전도(ECG/EKG)는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기록하는 검사로, 부정맥, 허혈(심근경색), 전해질 이상, 심장 비대 등을 평가하는 중요한 도구입니다.
다음은 기본적인 심전도 판독법과 주요 이상 소견을 쉽게 정리한 내용입니다.
1. 심전도 기본 구성
1) 기본 리드(Lead, 유도)
- 표준 12유도(12-lead ECG)
- 사지유도(4개): I, II, III, aVR, aVL, aVF
- 흉부유도(6개): V1, V2, V3, V4, V5, V6
- 각 리드별 심장 부위
- 전벽(전벽경색 관찰): V1~V4 (LAD 관류 영역)
- 측벽(측벽경색 관찰): I, aVL, V5~V6 (LCx 관류 영역)
- 하벽(하벽경색 관찰): II, III, aVF (RCA 관류 영역)
- 우심실(우심실경색 관찰): V1, V2, V4R
2. 정상 심전도의 기본 파형
P-QRS-T 파형 이해
구성 요소의미
P파 | 심방 탈분극 (SA node에서 발생) |
PR 간격 | 심방-심실 전도 시간 (AV node 전도 반영) |
QRS 복합파 | 심실 탈분극 |
ST 분절 | 심실 탈분극 후 재분극 시작 (정상적으로 평평) |
T파 | 심실 재분극 |
QT 간격 | 심실 전기적 활동의 총 지속 시간 |
3. 심전도 판독 순서 (5단계)
1) 리듬 분석
✅ 정상 리듬(Normal sinus rhythm, NSR)의 특징
- P파가 규칙적으로 존재
- P파와 QRS가 1:1로 대응
- PR 간격이 일정함 (0.12
0.20초, 35칸) - QRS 폭이 정상 (≤0.12초, 3칸 이하)
- RR 간격이 일정 → 규칙적인 심장 리듬
✅ 이상 리듬 예시
- 무작위 P파 → 심방세동(AF)
- QRS가 불규칙하고 갑자기 빠름 → 심실빈맥(VT)
- P파 없이 넓은 QRS → 심실세동(VF)
- P파는 있으나 일부가 QRS를 만들지 못함 → 방실차단(AV block)
2) 심박수(Heart rate) 측정
✅ 정상 심박수: 60~100회/분
✅ 계산법
- 300법: QRS 간격이 일정할 때 사용
- 한 칸(대형 칸) 간격 → 300 / QRS 간격 개수
- (예: 2칸 → 150bpm, 3칸 → 100bpm, 4칸 → 75bpm)
- 6초법: 부정맥이 있을 때 사용
- 6초(30칸) 동안 나타난 QRS 개수 × 10
3) PR 간격과 QRS 간격 확인
✅ PR 간격 (0.120.20초, 35칸)
- PR 연장 (>0.20초) → 1도 방실차단
- PR 점점 길어지다 QRS 탈락 → 2도 방실차단(Mobitz type I)
- PR 일정하나 갑자기 QRS 탈락 → 2도 방실차단(Mobitz type II)
✅ QRS 폭 (≤0.12초, 3칸 이하)
- 넓은 QRS (>0.12초) → 심실 유래 부정맥(VT, BBB 등) 가능
4) ST 분절 및 T파 이상 확인
✅ ST 분절 상승(ST Elevation)
- ST 분절이 기준선보다 >1mm 상승 → 급성 심근경색(AMI) 가능성
- 전벽경색(LAD 폐색) → V1~V4 ST 상승
- 하벽경색(RCA 폐색) → II, III, aVF ST 상승
- 측벽경색(LCx 폐색) → I, aVL, V5, V6 ST 상승
✅ ST 분절 하강(ST Depression)
- 허혈(심근 허혈, NSTEMI, 불안정 협심증) 가능성
- V1~V2에서 ST 하강 → 후벽경색 가능 (V7~V9 추가 확인)
✅ T파 이상
- 고칼륨혈증 → 뾰족한 T파(Tall peaked T wave)
- 저칼륨혈증 → U파 출현
- 심근경색 후 T파 역전 → 허혈성 변화
5) QT 간격 연장 여부
✅ QTc 간격 (QT보정, 정상: ≤440ms)
- QT 연장 (>440ms, 0.44초 이상)
- 약물 유발 (QT prolonging drugs, 항부정맥제, 항정신병약물)
- 저칼륨혈증, 저칼슘혈증
- 선천성 QT 연장 증후군(LQTS)
- Torsades de Pointes(TdP) 위험 증가
4. 주요 부정맥 심전도 예시
✅ 정상 동리듬 (Normal sinus rhythm, NSR)
- P-QRS-T 순서가 일정, RR 간격 일정, 심박수 60~100회/분
✅ 심방세동 (Atrial fibrillation, AF)
- P파 없음, 불규칙한 RR 간격, 빠른 심박수 (무작위 심실 반응)
✅ 심실빈맥 (Ventricular tachycardia, VT)
- 넓은 QRS(>0.12초), 심박수 >100bpm, 규칙적 RR 간격
- Torsades de Pointes: 다형성 VT (QT 연장 동반)
✅ 심실세동 (Ventricular fibrillation, VF)
- QRS가 불규칙하게 흔들리는 형태, 심장 박동 없음 → 즉시 제세동 필요
✅ 심근경색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MI)
- ST 상승(≥1mm) 또는 T파 역전, 병적 Q파
✅ 고칼륨혈증
- 높고 뾰족한 T파 (Tall peaked T wave), 넓은 QRS
✅ 저칼륨혈증
- U파 출현, T파 낮아짐
정리
✅ 심전도 판독 순서
1️⃣ 리듬 확인 (P파 유무, RR 간격 규칙성)
2️⃣ 심박수 측정 (300법, 6초법)
3️⃣ PR 간격 및 QRS 폭 확인
4️⃣ ST 분절 상승/하강 및 T파 확인
5️⃣ QT 간격 확인
➡ 급성 심근경색(ST 상승), 심실세동(VF), 심실빈맥(VT)은 응급 처치가 필요함! 🚨
반응형
'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IgA 신병증 (IgA Nephropathy) (1) | 2025.02.27 |
---|---|
급성 신손상에서의 지속적 신대체 요법 (CRRT) (0) | 2025.02.27 |
고혈압 약물의 종류 및 사용 순서 (0) | 2025.02.20 |
수액의 종류 및 특징 (0) | 2025.02.20 |
이뇨제의 종류 및 작용 기전 (0) | 2025.02.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