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

이뇨제의 종류 및 작용 기전

by 글래스팤 2025. 2. 20.
반응형

1. 이뇨제의 종류 및 작용 기전

이뇨제는 네프론(Nephron, 신장의 기능 단위) 내 특정 부위에서 작용하며, 각 계열마다 나트륨 재흡수를 차단하는 위치가 다릅니다.

📌 네프론 구조와 이뇨제의 작용 부위

근위세뇨관(Proximal tubule) → 탄산탈수효소 억제제(acetazolamide)
헨레 고리(Loop of Henle) → 고리이뇨제(loop diuretics)
원위세뇨관(Distal tubule) → 티아지드계(thiazide diuretics)
집합관(Collecting duct) → 칼륨보존이뇨제(K⁺-sparing diuretics)


2. 이뇨제의 종류 및 작용 기전 상세 설명

1) 탄산탈수효소 억제제 (Carbonic Anhydrase Inhibitors, CAI)

  • 대표 약물: Acetazolamide (Diamox)
  • 작용 부위: 근위세뇨관(Proximal tubule)
  • 작용 기전:
    • 탄산탈수효소(carbonic anhydrase)를 억제 → HCO₃⁻(중탄산염) 재흡수 억제 → Na⁺, H₂O 배설 증가
    • 결과적으로 알칼리성 이뇨 효과 및 체액 감소
  • 임상 사용:
    • 고산병 예방 (대사성 알칼리증 교정)
    • 녹내장 치료 (안압 감소)
    • 뇌부종 감소
  • 부작용:
    • 대사성 산증 (중탄산염 손실)
    • 저칼륨혈증 (K⁺ 배설 증가)

2) 고리이뇨제 (Loop Diuretics)

  • 대표 약물: Furosemide (Lasix), Bumetanide, Torsemide, Ethacrynic acid
  • 작용 부위: 헨레고리 굵은상행각(Loop of Henle, Thick ascending limb)
  • 작용 기전:
    • Na⁺/K⁺/2Cl⁻ 공동수송체(Na⁺/K⁺/2Cl⁻ symporter) 차단 → 나트륨 재흡수 차단 → 수분 배설 증가
    • 가장 강력한 이뇨 효과 (빠르고 강한 작용)
  • 임상 사용:
    • 급성 폐부종, 심부전 (빠른 체액 제거)
    • 신부전 (CKD, ESRD) (신기능 저하 시에도 효과적)
    • 고칼슘혈증 치료 (Ca²⁺ 배설 증가)
  • 부작용:
    • 저칼륨혈증 (K⁺ 손실 증가)
    • 저칼슘혈증, 저마그네슘혈증
    • 이독성(ototoxicity, 청력손상 위험)

3) 티아지드 이뇨제 (Thiazide Diuretics)

  • 대표 약물: Hydrochlorothiazide (HCTZ), Chlorthalidone, Indapamide
  • 작용 부위: 원위세뇨관(Distal convoluted tubule, DCT)
  • 작용 기전:
    • Na⁺/Cl⁻ 공동수송체(Na⁺/Cl⁻ symporter) 차단 → Na⁺, Cl⁻ 재흡수 억제 → 수분 배설 증가
    • 고리이뇨제보다 이뇨 효과는 약하지만 장기적으로 혈압 감소 효과가 뛰어남
  • 임상 사용:
    • 고혈압 1차 치료제
    • 만성 부종 (심부전, 간경변, 신증후군)
    • 신장성 요붕증(nephrogenic diabetes insipidus) 치료
  • 부작용:
    • 저칼륨혈증, 저나트륨혈증, 저마그네슘혈증
    • 고칼슘혈증 (Ca²⁺ 배설 감소 → 골다공증 예방 효과 있음!)
    • 고혈당, 고요산혈증(통풍 악화 가능)

4) 칼륨보존 이뇨제 (K⁺-Sparing Diuretics)

  • 대표 약물:
    • Aldosterone 길항제: Spironolactone, Eplerenone
    • Na⁺ 차단제: Amiloride, Triamterene
  • 작용 부위: 집합관(Collecting duct)
  • 작용 기전:
    • Aldosterone 길항제 (Spironolactone, Eplerenone)
      • 알도스테론(Aldosterone)이 Na⁺ 재흡수를 증가시키는 작용 차단 → Na⁺ 배설 증가, K⁺ 보존
    • Na⁺ 차단제 (Amiloride, Triamterene)
      • 집합관에서 Na⁺ 채널 차단Na⁺ 배설 증가, K⁺ 보존
  • 임상 사용:
    • 고혈압 치료 (다른 이뇨제와 병용 시 K⁺ 보존 효과)
    • 심부전(HF) 치료 (Aldosterone 길항제로 심장 보호 효과)
    • 고알도스테론증 치료 (Spironolactone)
  • 부작용:
    • 고칼륨혈증 (특히 신부전 환자 주의)
    • 여성형유방(Gynecomastia, Spironolactone 부작용)

3. 이뇨제 비교 요약표

이뇨제 계열작용 부위작용 기전이뇨 강도특징

탄산탈수효소 억제제 근위세뇨관 HCO₃⁻ 배설 증가 약함 뇌부종, 녹내장 치료
고리이뇨제 헨레고리 상행각 Na⁺/K⁺/2Cl⁻ 차단 강함 급성 부종 치료, Ca²⁺ 배설 증가
티아지드 이뇨제 원위세뇨관 Na⁺/Cl⁻ 차단 중간 장기 혈압 조절, Ca²⁺ 보존
칼륨보존 이뇨제 집합관 Na⁺ 차단, Aldosterone 길항 약함 K⁺ 보존, 고알도스테론증 치료

4. 결론 및 임상 적용

고혈압 치료: Thiazide 이뇨제(장기 혈압 조절)
급성 부종, 심부전: 고리이뇨제(강력한 이뇨 작용)
고칼륨혈증 방지: Thiazide, Loop
저칼륨혈증 방지: K⁺-sparing Diuretics
고알도스테론증 치료: Spironolactone

 

 

1️⃣ 탄산탈수효소 억제제 (Carbonic Anhydrase Inhibitors, CAI)

  • Acetazolamide (아세타졸아미드)
    • 💊 디아목스(Diamox)

📌 주요 사용처: 고산병 예방, 녹내장 치료, 대사성 알칼리증 교정


2️⃣ 고리이뇨제 (Loop Diuretics)

  • Furosemide (푸로세미드)
    • 💊 라식스(Lasix)
    • 💊 푸로세미드정(Furosemide Tab.)
    • 💊 푸로밋정(Furomid Tab.)
  • Bumetanide (부메타니드)
    • 💊 부메타닐(Bumetanil)
    • 💊 부멕스(Bumex)
  • Torsemide (토르세미드)
    • 💊 토르셈(Torsem)
    • 💊 트리세미드(Trisemid)
  • Ethacrynic Acid (에타크린산, 신장 독성 ↓)
    • 💊 에데크린(Edecrin)

📌 주요 사용처: 급성 폐부종, 심부전, 신부전 환자의 부종 치료


3️⃣ 티아지드 이뇨제 (Thiazide Diuretics)

  • Hydrochlorothiazide (HCTZ, 히드로클로로티아지드)
    • 💊 히드로Diuril (HydroDiuril)
    • 💊 나트릭스(Natrix)
  • Chlorthalidone (클로르탈리돈)
    • 💊 히그로톤(Hygroton)
    • 💊 클로르딘(Chlordin)
  • Indapamide (인다파마이드)
    • 💊 나트릭스(Natrix SR, 서방형)
    • 💊 루닌(Lunin)

📌 주요 사용처: 고혈압 1차 치료제, 만성 부종 조절


4️⃣ 칼륨보존 이뇨제 (K⁺-Sparing Diuretics)

① 알도스테론 길항제(Aldosterone Antagonists)

  • Spironolactone (스피로놀락톤)
    • 💊 알닥톤(Aldactone)
    • 💊 스피락톤(Spiracton)
    • 💊 스피로닥톤(Spirodactone)
  • Eplerenone (에플레레논, 스피로놀락톤과 유사하나 부작용 적음)
    • 💊 이니스프린(Inspra)

② Na⁺ 차단제(Sodium Channel Blockers)

  • Amiloride (아밀로라이드)
    • 💊 아미로정(Amilo Tab.)
    • 💊 미다모르(Midamor)
  • Triamterene (트리암테렌)
    • 💊 다이렉스(Dyrenium)

📌 주요 사용처: 고혈압 치료 보조, 저칼륨혈증 예방, 심부전


💡 이뇨제 조합 (복합제)

고혈압 치료에서 이뇨제 단독보다는 복합제 형태로 많이 처방됩니다.

1️⃣ Thiazide + ARB (고혈압 치료)

  • 💊 Co-Diovan (코디오반) → Valsartan + HCTZ
  • 💊 Hyzaar (하이자르) → Losartan + HCTZ
  • 💊 Micardis Plus (미카르디스 플러스) → Telmisartan + HCTZ

2️⃣ Thiazide + ACEi

  • 💊 Zestoretic (제스토릭) → Lisinopril + HCTZ
  • 💊 Accuretic (아큐레틱) → Quinapril + HCTZ

3️⃣ Loop Diuretics + K⁺-Sparing

  • 💊 Lasilactone (라실락톤) → Furosemide + Spironolactone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