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

항응고제 vs 항혈소판제제 비교

by 글래스팤 2025. 2. 20.
반응형

항응고제 vs. 항혈소판제제 비교

항응고제와 항혈소판제제는 둘 다 혈전(피떡) 생성을 방지하지만, 작용 기전과 적응증이 다릅니다.


1. 작용 기전의 차이

항혈소판제제 (Antiplatelet agents)항응고제 (Anticoagulants)

작용 부위 혈소판의 응집 억제 혈액 응고 과정(응고인자) 억제
기전 혈소판이 뭉치는 것을 막음(혈소판 활성 억제) 피가 응고되는 과정(응고 인자 작용) 차단
주요 표적 동맥성 혈전 (죽상경화성 혈전) 정맥성 혈전 (심부정맥 혈전, 폐색전증 등)

2. 대표적인 약물 종류

항혈소판제제항응고제

경구 약물 - 아스피린 (Aspirin)
- 클로피도그렐(Plavix)
- 프라수그렐(Effient)
- 티카그렐러(Brilinta)
- 와파린(Warfarin)
- NOACs (신형 항응고제)
- 리바록사반(Xarelto)
- 아픽사반(Eliquis)
- 다비가트란(Pradaxa)
주사제 - 아브식시맙 (ReoPro)
- 에피티피바티드 (Integrilin)
- 헤파린(Heparin)
- 저분자량 헤파린(Enoxaparin, Clexane)

3. 주요 적응증

항혈소판제제항응고제

심장 질환 관상동맥질환(CAD)
- 협심증, 심근경색(MI)
- 스텐트 시술 후 혈전 예방
심방세동(Afib)
- 심장 내 혈전 형성 방지
뇌졸중 허혈성 뇌졸중 예방 (동맥성 혈전) 심인성 뇌졸중(심방세동 관련)
정맥 혈전 사용하지 않음 심부정맥혈전증(DVT), 폐색전증(PE) 예방 및 치료

4. 출혈 위험 비교

항혈소판제제항응고제

출혈 위험 위장관 출혈 ↑ 출혈 위험 더 높음 (특히 두개내 출혈)
해독제 없음 (출혈 시 지혈 어려움) - 와파린: 비타민 K, PCC(프로트롬빈 복합체)
- NOAC: 특정 해독제 (안덱사닐 등)

5. 주요 차이점 정리

항혈소판제제항응고제

목적 동맥성 혈전 예방 (심근경색, 뇌졸중 등) 심방세동, 정맥 혈전 예방 및 치료
작용 부위 혈소판 응집 억제 응고인자 억제
대표 약물 아스피린, 플라빅스 와파린, 헤파린, NOACs
출혈 위험 위장관 출혈 위험 출혈 위험 더 높음 (특히 두개내 출혈)
사용 예시 스텐트 시술 후, 뇌졸중 예방 심방세동, 심부정맥혈전증(DVT), 폐색전증(PE)

결론

  • 항혈소판제제: **동맥(높은 압력)**에서 생기는 혈전을 방지 → 심근경색, 뇌졸중 예방
  • 항응고제: **정맥(낮은 압력)**에서 생기는 혈전 방지 → 심방세동, 정맥혈전증 예방

심방세동 환자 → 항응고제 사용
관상동맥 스텐트 삽입 환자 → 항혈소판제 사용 (필요 시 항응고제 병용)

따라서, 질환에 따라 적절한 선택이 필요하며, 복용 시 출혈 위험을 반드시 고려해야 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