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고혈압 약물의 종류 및 사용 순서 (대한고혈압학회 가이드라인 기반)
고혈압 치료는 약물요법과 생활습관 개선이 함께 이루어져야 합니다.
약물 치료는 환자의 나이, 동반 질환, 고혈압 단계에 따라 결정되며, 1차 치료제와 2차 치료제로 구분됩니다.
1. 고혈압 약물의 주요 계열 및 작용 기전
고혈압 치료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약물은 크게 5가지 계열로 나뉩니다.
약물 계열대표 약물작용 기전주요 부작용
이뇨제 (Diuretics) | Thiazide류 (Hydrochlorothiazide, Chlorthalidone), Loop (Furosemide), K⁺-sparing (Spironolactone) | 신장에서 Na⁺ 배설 증가 → 혈액량 감소 → 혈압 감소 | 저칼륨혈증(Thiazide, Loop), 고칼륨혈증(K⁺-sparing), 탈수 |
ACE 억제제 (ACEi,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inhibitors) | Enalapril, Ramipril, Lisinopril | Angiotensin II 생성 억제 → 혈관 확장 | 마른기침, 혈관부종, 고칼륨혈증 |
ARB (Angiotensin II Receptor Blockers) | Losartan, Valsartan, Telmisartan | Angiotensin II 수용체 차단 → 혈관 확장 | 저혈압, 고칼륨혈증, 신기능 악화 가능 |
칼슘채널 차단제 (CCB, Calcium Channel Blockers) | Dihydropyridine (Amlodipine, Nifedipine), Non-DHP (Diltiazem, Verapamil) | 칼슘 유입 차단 → 혈관 확장 | 발목 부종, 두통, 심박수 변화 |
베타차단제 (Beta-Blockers, BB) | Atenolol, Metoprolol, Carvedilol | 심박수와 심박출량 감소 → 혈압 감소 | 서맥, 피로감, 기관지 수축(천식 환자 주의) |
2. 고혈압 약물 사용 순서 (치료 알고리즘)
✅ 1) 초치료 (Initial Therapy)
① 단일약제(Monotherapy) vs. 복합요법(Combination Therapy) 선택 기준
- 고혈압 1기 (140
159/9099mmHg) → 단일요법 시작 가능 - 고혈압 2기 (≥160/100mmHg) → 초기부터 2제 복합요법 고려
📌 1차 추천 약제 (대한고혈압학회 2023 가이드라인)
- 주요 1차 약제 (First-line drugs)
- Thiazide 이뇨제
- ACEi 또는 ARB
- CCB (Dihydropyridine 계열)
→ 단독 또는 병용 요법 선택 가능
💡 단일제 선택 팁
- 고령 환자: Thiazide 이뇨제, CCB 우선
- 당뇨병, 신장병: ARB 또는 ACEi 우선
- 허혈성 심질환(협심증, 심근경색 과거력): Beta-blocker 고려
- 부종이 있는 경우: 이뇨제 추가
✅ 2) 약물 병용 요법 (Combination Therapy)
- 혈압이 목표치(140/90mmHg) 이하로 조절되지 않는 경우 → 2제 또는 3제 병용 고려
- 대한고혈압학회에서는 다음과 같은 병용 요법을 권장함
📌 2제 병용요법 추천 조합
조합추천 여부이유
ACEi 또는 ARB + CCB | ✅ 강력 추천 | 혈관 확장 + 이뇨 효과 |
ACEi 또는 ARB + Thiazide 이뇨제 | ✅ 강력 추천 | RAS 차단 + 혈액량 감소 |
CCB + Thiazide 이뇨제 | ✅ 사용 가능 | 혈관 확장 + 혈액량 감소 |
ACEi + ARB | ❌ 비추천 | 신부전 위험 증가 |
Beta-blocker + CCB (Non-DHP) | ⚠️ 주의 | 심장 억제 과다 가능 |
✅ 3) 치료 목표 및 조절되지 않는 경우
📌 치료 목표 혈압
대상목표 혈압
일반 고혈압 환자 | <140/90 mmHg |
당뇨병 환자 | <130/80 mmHg |
신장질환 환자 (CKD, 단백뇨 동반) | <130/80 mmHg |
고령 환자 (>65세) | <140/90 mmHg (기립성 저혈압 주의) |
📌 치료 실패 시 (Resistant Hypertension)
- 3제 요법(ACEi/ARB + CCB + Thiazide)에도 조절되지 않는 경우
→ Spironolactone 추가 고려 (Aldosterone Antagonist)
→ Beta-blocker, α-blocker 추가 가능
→ 신장내과 협진 필요
3. 특수 환자군에서의 고혈압 약제 선택
특정 질환이 있는 경우, 일반적인 1차 약제보다 맞춤 치료가 필요합니다.
동반 질환추천 약제피해야 할 약제
당뇨병(DM) | ACEi 또는 ARB (신장 보호) | Beta-blocker (저혈당 증상 가림) |
만성 신장병(CKD) | ACEi 또는 ARB | K⁺ 보존 이뇨제 (고칼륨혈증 위험) |
심부전(HF) | ACEi, ARB, Beta-blocker, Spironolactone | CCB (심장 기능 저하 가능) |
심근경색(MI) 과거력 | Beta-blocker, ACEi | CCB (심근 수축력 저하) |
노인 | CCB, Thiazide | Beta-blocker (낙상 위험) |
임신 | Methyldopa, Labetalol | ACEi, ARB (태아 기형 유발) |
천식 | CCB, ARB | Beta-blocker (기관지 수축 가능) |
4. 결론 및 요약
✅ 고혈압 치료는 환자의 상태와 동반 질환을 고려하여 약제 선택이 달라짐
✅ Thiazide 이뇨제, ARB/ACEi, CCB가 1차 치료제로 권장됨
✅ 혈압이 조절되지 않으면 2제 또는 3제 병용 요법으로 진행
✅ 특수한 질환(당뇨, 신장병, 심부전 등)이 있는 경우 맞춤 치료 필요
✅ 치료 목표 혈압(<140/90mmHg) 달성이 중요하며, 조절되지 않으면 약제 추가 고려
💡 요약 1️⃣ 고혈압 1기 → 단일제 (Thiazide, ARB/ACEi, CCB 중 선택)
2️⃣ 고혈압 2기 → 초기부터 2제 병용 (ARB + CCB or ARB + Thiazide)
3️⃣ 조절 안 되면 → 3제 병용 (ARB + CCB + Thiazide)
4️⃣ 여전히 조절 안 되면 → Spironolactone 추가 고려
반응형
'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급성 신손상에서의 지속적 신대체 요법 (CRRT) (0) | 2025.02.27 |
---|---|
심전도(ECG, Electrocardiogram) 보는 방법 (0) | 2025.02.20 |
수액의 종류 및 특징 (0) | 2025.02.20 |
이뇨제의 종류 및 작용 기전 (0) | 2025.02.20 |
항응고제 vs 항혈소판제제 비교 (0) | 2025.02.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