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TTKG(Transtubular Potassium Gradient)를 **RAAS(Renin-Angiotensin-Aldosterone System)**와 연결해서 비교 정리해드릴게요. 이 둘은 칼륨의 배설과 보존 조절에 있어 서로 밀접한 관계가 있어요.
✅ TTKG vs RAAS 비교 정리
항목설명
TTKG (Transtubular Potassium Gradient) | 집합관에서 칼륨 분비 능력을 수치로 나타냄 → 알도스테론 작용을 간접적으로 평가할 수 있음 |
RAAS (레닌-안지오텐신-알도스테론 시스템) | **혈압과 체액, 전해질(특히 Na⁺, K⁺)**을 조절하는 시스템 → 알도스테론 분비를 통해 K⁺ 배출을 유도함 |
🔎 TTKG란?
- 공식:\text{TTKG} = \frac{\text{[K⁺]_urine} \times \text{[Osm]_plasma}}{\text{[K⁺]_plasma} \times \text{[Osm]_urine}}
- 정상값: 8~12
- 의미: 칼륨을 얼마나 적극적으로 신장에서 배출하고 있는가를 보여줌
- 조건: 요 삼투질 ≥ 300mOsm/kg, 소변 Na⁺ ≥ 25mEq/L일 때 유효
✅ TTKG와 RAAS 관계 요약
상황RAAS 활동알도스테론TTKG 수치의미
고칼륨혈증 | ↑ | ↑ | ↑ (8 이상) | 알도스테론 활발 → K⁺ 잘 배출 중 |
저칼륨혈증 | ↓ | ↓ | ↓ (3 이하) | 알도스테론 억제 → K⁺ 보존 중 |
알도스테론 결핍 (ex. Addison병) | ↓ | ↓ | ↓ | K⁺ 배출 ↓ → 고칼륨혈증 위험 |
알도스테론 저항 (ex. Type IV RTA) | 정상 or ↑ | 정상 or ↑ | ↓ | 칼륨 배출 불량 → 고칼륨혈증 |
🧠 한 줄 요약
TTKG는 알도스테론이 제대로 작동하고 있는지를 수치로 확인하는 지표!
RAAS → 알도스테론 ↑ → 집합관에서 칼륨 배출 ↑ → TTKG ↑
반응형
'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슐린(insulin)과 칼륨(potassium, K⁺) (0) | 2025.04.01 |
---|---|
MDI(Multiple Daily Injections, 다회 인슐린 주사요법) (1) | 2025.04.01 |
조혈제 주사의 혈전증(thrombosis) 위험 (0) | 2025.04.01 |
CDAD (Clostridioides difficile-associated diarrhea) (0) | 2025.03.21 |
Hepatotonics (0) | 2025.03.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