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MDI(Multiple Daily Injections, 다회 인슐린 주사요법)는 당뇨병 특히 제1형 당뇨병 또는 인슐린이 필요한 제2형 당뇨병 환자에게 사용하는 방법으로, **기저 인슐린(basal insulin)**과 **식사 인슐린(bolus insulin)**을 병합해서 혈당을 조절하는 방식이에요. 간단하게 말하면 "하루에 여러 번 인슐린을 맞아서 혈당을 정교하게 조절하는 방법"이에요.
🔹 MDI 기본 구조
- 기저 인슐린 (Basal insulin)
- 하루 1~2회 맞음
- 공복 혈당을 안정시키고, 하루 종일 기본적인 인슐린 작용을 지속시켜 줌
- 예: 란투스, 레버미어, 트레시바 등
- 식사 인슐린 (Bolus insulin)
- 식사 직전(보통 식사 15분 전~식사 직후) 맞음
- 식사로 인해 급격히 올라가는 혈당을 조절
- 예: 노보래피드, 휴마로그, 아피드라 등
🔹 MDI 조절 방법
1. 혈당 패턴 파악이 먼저!
- 아침, 점심, 저녁, 자기 전 등 하루 4~7회 혈당 체크
- 공복 혈당, 식후 2시간 혈당 등을 기록해서 패턴 분석
2. 기저 인슐린 조절 (공복 혈당 기준)
- 공복 혈당이 높으면 기저 인슐린 증량 (ex. 2단위씩)
- 공복 혈당이 낮으면 기저 인슐린 감량
- 단, 기저 인슐린은 식후 혈당보다는 공복 및 자정~새벽 혈당을 기준으로 조절해야 함
3. 식사 인슐린 조절 (식후 혈당 기준)
- 식사 전 혈당과 식사 후 2시간 혈당 차이를 확인
- 보통 식후 2시간 혈당이 180mg/dL 이상이면 식사 인슐린 부족
- 이럴 경우 탄수화물-인슐린 비율(Carb-to-Insulin Ratio) 또는 **보정 인슐린(Correction dose)**을 고려해서 조절함
🔹 MDI 조절 시 참고 수치
시간목표 혈당 범위
공복 | 80~130 mg/dL |
식후 2시간 | <180 mg/dL |
취침 전 | 100~140 mg/dL |
🔹 실전 예시
예를 들어,
- 아침 공복 혈당이 170 이상 → 기저 인슐린 2단위 증가
- 아침 식전 혈당 100, 식후 2시간 혈당 240 → 아침 식사 인슐린 1~2단위 증량
- 운동 후 저혈당 → 기저 또는 식사 인슐린 감량 또는 간식 추가 고려
반응형
'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TTKG vs RAAS 비교 정리 (0) | 2025.04.01 |
---|---|
인슐린(insulin)과 칼륨(potassium, K⁺) (0) | 2025.04.01 |
조혈제 주사의 혈전증(thrombosis) 위험 (0) | 2025.04.01 |
CDAD (Clostridioides difficile-associated diarrhea) (0) | 2025.03.21 |
Hepatotonics (0) | 2025.03.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