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TTKG (세뇨관 칼륨 농도 기울기)란?
**TTKG(Transtubular Potassium Gradient)**는 신장이 칼륨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배설하는지를 평가하는 검사입니다.
특히 고칼륨혈증(Hyperkalemia) 또는 **저칼륨혈증(Hypokalemia)**의 원인을 감별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신장의 원위 세뇨관과 집합관에서 칼륨이 얼마나 조절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핵심이죠!
📌 TTKG 공식 & 계산 방법
TTKG=(Urine KPlasma K)(Urine OsmPlasma Osm)TTKG = \frac{\left( \frac{\text{Urine K}}{\text{Plasma K}} \right)}{\left( \frac{\text{Urine Osm}}{\text{Plasma Osm}} \right)}
- Urine K: 소변 내 칼륨 농도 (mEq/L)
- Plasma K: 혈장 내 칼륨 농도 (mEq/L)
- Urine Osm: 소변 삼투압 (mOsm/kg)
- Plasma Osm: 혈장 삼투압 (mOsm/kg)
이 값을 통해 신장이 칼륨을 배출하는 정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TTKG 해석 (의미 분석)
TTKG 값해석의심되는 원인
< 5 | 신장이 칼륨을 충분히 배출하지 않음 | 저알도스테론증, 알도스테론 저항성, 급성 신부전 |
> 7 | 신장이 칼륨을 적극적으로 배출함 | 알도스테론 과다, 원발성 알도스테론증 |
🔬 TTKG 활용 예시
✔️ 고칼륨혈증(Hyperkalemia) 감별
- TTKG < 5 → 신장이 칼륨을 충분히 배출하지 못함 → 저알도스테론증, 신부전 의심
- TTKG > 7 → 신장이 칼륨을 잘 배출하고 있음 → 세포외 칼륨 이동 증가 가능성
✔️ 저칼륨혈증(Hypokalemia) 감별
- TTKG > 7 → 신장이 칼륨을 과도하게 배출 중 → 원발성 알도스테론증 가능성
- TTKG < 5 → 신장이 칼륨을 유지하고 있음 → GI loss(구토, 설사) 가능성
⚠️ TTKG 해석 시 주의할 점!
💡 소변 삼투압이 300 mOsm/kg 이상이어야 신뢰도 증가!
- 소변이 너무 묽으면(희석되면) TTKG가 낮게 나올 수 있어 정확한 해석이 어려움
- 소변 삼투압이 300 이상일 때 가장 정확한 값을 제공함
💡 알도스테론 상태를 반영하는 간접적 검사
- 직접적인 혈중 알도스테론 수치를 보는 것이 아니라 신장에서의 칼륨 조절 능력을 평가하는 것이므로,
혈중 레닌-알도스테론 검사와 함께 해석해야 함!
💡 이뇨제 사용 여부 확인 필수
- 이뇨제(특히 칼륨 보존성 이뇨제)를 사용하면 신장의 칼륨 배출이 조절되므로,
TTKG 결과 해석이 왜곡될 수 있음
🎯 마무리 요약
✅ TTKG는 신장이 칼륨을 얼마나 배출하는지를 평가하는 지표
✅ 5 미만이면 칼륨 배출 저하 → 저알도스테론증, 신부전 가능성
✅ 7 이상이면 칼륨 배출 증가 → 원발성 알도스테론증 가능성
✅ 소변 삼투압(300 이상)과 함께 해석해야 정확도가 증가
✅ 이뇨제 사용 여부를 반드시 고려하고, 혈중 알도스테론 검사와 병행해서 해석하는 것이 중요!
반응형
'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CDAD (Clostridioides difficile-associated diarrhea) (0) | 2025.03.21 |
---|---|
Hepatotonics (0) | 2025.03.21 |
신장이 나트륨을 얼마나 배출할까? - FENa (0) | 2025.03.21 |
Bone Scan (뼈 스캔) (0) | 2025.03.21 |
요붕증(Diabetes Insipidus, DI) (0) | 2025.03.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