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생제(Antibiotics) 개요 및 분류
항생제(Antibiotics) 는 박테리아 감염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되는 약물입니다. 항생제는 작용 기전에 따라 여러 가지 종류로 나뉘며, 감염의 종류 및 원인균에 따라 적절한 항생제를 선택해야 합니다.
1. 항생제의 작용 기전 (Mechanism of Action)
작용 기전항생제 종류예시
세포벽 합성 억제 (Cell wall synthesis inhibition) | 베타락탐 계열(Beta-lactams) | 페니실린, 세팔로스포린, 카바페넴 |
글리코펩타이드(Glycopeptides) | 반코마이신, 테이코플라닌 | |
세포막 기능 손상 (Cell membrane disruption) | 리포펩타이드(Lipopeptides) | 다프토마이신 |
단백질 합성 억제 (Protein synthesis inhibition) | 30S 리보솜 억제 | 아미노글리코사이드(겐타마이신), 테트라사이클린(독시사이클린) |
50S 리보솜 억제 | 마크로라이드(아지스로마이신), 클로람페니콜, 리네졸리드 | |
DNA 합성 억제 (DNA replication inhibition) | 퀴놀론(Fluoroquinolones) | 시프로플록사신, 레보플록사신 |
RNA 합성 억제 (RNA synthesis inhibition) | 리팜핀(Rifamycin 계열) | 리팜핀 |
엽산 대사 억제 (Folic acid metabolism inhibition) | 설폰아미드(Sulfonamides) | 트리메토프림/설파메톡사졸(TMP/SMX, Bactrim) |
2. 주요 항생제 그룹별 특징 및 임상 적용
① 베타락탐(Beta-lactams) 계열
🔹 작용 기전: 세포벽 합성 억제
🔹 주요 그룹:
- 페니실린(Penicillins): 페니실린G, 암피실린, 아목시실린, 피페라실린
- 세팔로스포린(Cephalosporins): 1~5세대 (세팔렉신, 세프트리악손, 세페핌 등)
- 카바페넴(Carbapenems): 메로페넴, 이미페넴, 에르타페넴
- 베타락탐/베타락타마제 억제제 복합제: 아목시실린/클라불란산, 피페라실린/타조박탐
✅ 적용:
- 광범위 감염 치료 (폐렴, 요로감염, 패혈증 등)
- 내성균 감염 시 카바페넴 사용
🚨 주의:
- 페니실린 알레르기 환자에서 교차 반응 가능성 있음
- 카바페넴은 ESBL(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 생성 균주 치료에 효과적
② 글리코펩타이드(Glycopeptides) 계열
🔹 작용 기전: 세포벽 합성 억제
🔹 대표 약물: 반코마이신(Vancomycin), 테이코플라닌(Teicoplanin)
✅ 적용:
- MRSA(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감염 치료
- C. difficile 감염 시 경구 반코마이신 사용
🚨 주의:
- 신독성(Nephrotoxicity) 및 반코마이신 적혈구 용해 증후군 (Red Man Syndrome) 주의
- TDM(Therapeutic Drug Monitoring, 혈중농도 모니터링) 필요
③ 퀴놀론(Fluoroquinolones) 계열
🔹 작용 기전: DNA 복제 억제
🔹 대표 약물: 시프로플록사신(Ciprofloxacin), 레보플록사신(Levofloxacin), 목시플록사신(Moxifloxacin)
✅ 적용:
- 요로감염(UTI), 호흡기 감염(폐렴)
- 소화기 감염 (살모넬라, 시겔라 등)
🚨 주의:
- 힘줄 파열(Tendon rupture) 위험 증가 → 노인, 스테로이드 복용자 주의
- C. difficile 감염 위험 증가
- QT 연장 가능성 있음
④ 아미노글리코사이드(Aminoglycosides) 계열
🔹 작용 기전: 30S 리보솜 억제 → 단백질 합성 방해
🔹 대표 약물: 겐타마이신(Gentamicin), 아미카신(Amikacin), 토브라마이신(Tobramycin)
✅ 적용:
- 그람음성균 감염, 패혈증, 병원성 폐렴
- 결핵 치료 (스트렙토마이신 포함)
🚨 주의:
- 신독성(Nephrotoxicity), 이독성(Ototoxicity, 청각 및 평형장애) 위험
- TDM(혈중 농도 모니터링) 필요
⑤ 마크로라이드(Macrolides) 계열
🔹 작용 기전: 50S 리보솜 억제 → 단백질 합성 방해
🔹 대표 약물: 아지스로마이신(Azithromycin), 에리트로마이신(Erythromycin), 클라리스로마이신(Clarithromycin)
✅ 적용:
- 비정형 폐렴(마이코플라즈마, 클라미디아, 레지오넬라) 치료
- 상기도 감염(편도염, 중이염, 기관지염 등)
🚨 주의:
- QT 연장 위험
- CYP450 억제 → 약물 상호작용 주의 (와파린, 디곡신 등)
⑥ 테트라사이클린(Tetracyclines) 계열
🔹 작용 기전: 30S 리보솜 억제 → 단백질 합성 방해
🔹 대표 약물: 독시사이클린(Doxycycline), 테트라사이클린(Tetracycline), 미노사이클린(Minocycline)
✅ 적용:
- 비정형 감염(클라미디아, 마이코플라즈마), 리케차 감염
- 여드름 치료, 라임병, 브루셀라증
🚨 주의:
- 임산부 및 8세 이하 소아 금기(치아 변색, 골격 성장 저해)
- 광과민 반응(Photosensitivity)
3. 항생제 선택 원칙
📌 1. 감염 원인균(Target Pathogen)을 고려하여 항생제 선택
📌 2. 감수성 검사(Antibiotic Sensitivity Test) 결과 기반하여 사용
📌 3. 신장/간 기능 고려하여 용량 조절 필요
📌 4. 광범위 항생제 사용 시, 불필요한 내성균 발생 예방
📌 5. 치료 후 경과 평가 및 필요 시 항생제 변경
📌 결론
항생제는 세균 감염을 치료하는 필수 약물이지만, 적절한 선택과 사용이 중요함. 감염 원인에 따라 작용 기전과 감수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항생제를 선택하고, 불필요한 내성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광범위 항생제 남용을 피해야 함.
'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혈액배양검사(Blood Culture) 결과 해석 (0) | 2025.03.11 |
---|---|
CDAD (Clostridioides difficile-associated diarrhea, C. difficile 감염 관련 설사) (0) | 2025.03.11 |
세팔로스포린(Cephalosporins) 계열 항생제 – 세대별 분류 및 특징 (0) | 2025.03.11 |
CIN (Contrast-Induced Nephropathy) Prophylaxis (0) | 2025.03.11 |
Brain CT vs. Brain MRI 차이 (1) | 2025.03.11 |
댓글